기업은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정보가 생겼을 때 즉시 공시해야 한다. 주식시장은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를 그 가치만큼 주가에 반영하기 때문이다. 이런 메커니즘이 잘 작동하는 주식시장을 효율적이라고 말한다.
정상적이고 효율적인 시장이라 하더라도 증권시장이 열리지 않는 토요일과 일요일에 새롭게 나오는 정보는 그 주 금요일에 예상해 반영하거나 다음주 월요일에 한꺼번에 반영될 수밖에 없다.
미국 시장에서 다른 요일에 비해 월요일 또는 금요일에 주가가 폭등하거나 폭락하는 사태가 자주 일어나는 이유다.
한국 주식시장도 비교적 효율적이라고 인정받는 시장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렇지 않은 사례들이 많이 발생, 투자자들 사이에서 '국장 비하' 발언이 쏟아지고 있다.
그런 사례 가운데 하나가 올빼미 공시다.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시장이 열리지 않는 시간에 공시하는 행위를 말한다. 특히 주주가치 희석화가 우려되는 유상증자의 올빼미 공시 문제가 심각하다.
유상증자는 원활한 자금조달을 위해 기준 주가가 정해지면 신규 주주에게 10~30%의 할인율을 적용해 유상증자 참여를 유도한다. 구조적으로 기존 주주에 비해 신규 주주에게 유리하다.
기존 주주입장에서 일부 부가 이전돼 자신이 보유한 지분가치가 희석화되는 것은 어쩔 수 없다. 대부분의 소액 투자자는 자신이 매수한 금액이외에 추가적으로 현금이 투자되는 것을 기피한다.
그러니 유상증자에 대해 야간에 공시하는 일이 흔한데 문제가 하나 더 있다. 공시를 미루는 사이 해당 정보가 일부 투자자에게 먼저 유출돼 불공정 선행매매로 연결될 수 있다는 우려다.
효율적 시장이고 제도적으로 완비된 시장이라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하지만 올해 들어서도 이런 일이 반복되면서 이수페타시스에 대한 의혹이 일고 있다.
이 회사는 지난달 8일 금요일 오후 6시 44분 5500억원의 유상증자를 올빼미 방식으로 늑장 공시했다.
이사회 회의록에 기록된 회의시간은 오전 9시다. 공시 시점은 워라밸을 찾는 젊은 직원들이 퇴근했을 시간이다.
이수페타시스 주가는 유상증자 발표 전인 지난 10월 23일 4만5700원 고점에서 지난달 8일 3만1750원으로 30.53% 하락했다. 기관투자자가 매도를 주도했다. 충분히 정보유출이 의심스러운 상황이다.
올빼미 공시 후 첫 거래일 하루에만 추가로 22.68% 폭락했다. 불공정 선행매매가 사실이라면 거의 50%가 넘는 손실을 회피한 것이다.
결국 금감원은 이수페타시스 유상증자에 제동을 걸고 정정신고서 제출을 요구했다. 의심스러운 불공정 선행매매가 사실인지 금융당국의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
올빼미 공시로 발생되는 문제점을 이번 기회에 해소하기 위해 일부 공시 항목에 대해 장중 공시하도록 의무화하고, 공시서류 접수일자에 시간대까지 명시하는 제도개선도 시급하다.
이수페타시스는 정정신고서를 내고 유상증자 추진 의지를 다졌다. 그 사이 주가는 더 떨어졌다.
증권시장과 개인투자자의 부정적 시각을 뚫고 이수페타시스의 유상증자가 성공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 안경희 세이프타임즈 논설위원·경제금융연구소장 △경영학박사 △서강대 경제대학원 대우교수 △나사렛대 경영학과 객원교수
관련기사
- [안경희 칼럼] 하이브 상장 첫날 주가 왜 내렸나
- [안경희 칼럼] 롯데케미칼 왜 위기에 빠졌나
- [안경희 칼럼] 삼성전자 ROE, 의심할 여지가 없는 이유
- [안경희 칼럼] 진정성 의심 '금양 무상증여' 기우일까
- [안경희 칼럼] '천재의 꼼수' 고려아연의 유상증자
- [안경희 칼럼] 3곳에 빚진 SK하이닉스
- [안경희 칼럼] 밸류업 프로그램 무엇이 달라야 하는가?
- [안경희 칼럼] 삼성전자는 왜 HBM을 못할까?
- [안경희 칼럼] 신뢰 잃은 금양이 해결해야 할 두 가지 난제
- [안경희 칼럼] '아름다운 동행' 영풍·고려아연 종말은
- [안경희 칼럼] 780억 이자부담 중소판매자에게 떠넘긴 티메프
- [안경희 칼럼] 강압적인 지분 매입 CJ프레시웨이 떳떳한가?
- [안경희 칼럼] 시장 논리마저 외면하는 두산 밥캣-로보틱스 합병
- [안경희 칼럼] 한미약품그룹 경영권 분쟁, 상속세가 원인
- [안경희 칼럼] 삼성전자, 기업분할 선택할 시점이다
- [안경희 칼럼] '자기주식의 마법' 규제 비상장기업으로 확대해야
- [안경희 칼럼] 자본시장이 예측할 수 있는 금통위를 기대한다
- [안경희 칼럼] 예금보험공사에 포괄적 권한 부여해야 한다
- [안경희 칼럼] '빽햄 논란' 더본코리아만의 문제일까?
- [안경희 칼럼] 산업은행 이전 과연 타당한가?
- [안경희 칼럼] 대체거래소 출범 대비해야 할 문제는?
- [안경희 칼럼] 퇴직연금 투자수익률을 높이려면
- [안경희 칼럼] ‘채권 돌려막기’ 제재가 2년이나 걸린 이유
- [안경희 칼럼] 홈플러스 기업회생신청이 신용평가사에 던진 숙제
- [안경희 칼럼] 금양의 미래는 무엇에 달렸나?
- [안경희 칼럼] 홈플러스 사태에서 이익 본 자는 누구인가?
- [안경희 칼럼] 삼성SDI 유상증자 공시일에 생긴 '의혹'
- [안경희 칼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가 의심받는 이유
- [안경희 칼럼] 우리금융지주만 경영실태평가를 받은 이유는?
- [안경희 칼럼] 국민연금이 홈플러스 RCPS 투자에서 간과한 것은?
- [안경희 칼럼] 증권업계 '안전한 IT시스템' 시급하다
- [안경희 칼럼] 한화에어로 유상증자 정정 '조삼모사'에 불과하다
- [안경희 칼럼] 사내유보금, 과연 쓸데없이 쌓아둔 돈일까?
- [안경희 칼럼] SK, 삼성처럼 '슈퍼을' 한미반도체 도태전략 쓰나
- [안경희 칼럼] 산은의 한화오션 지분 매각 비난할 일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