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가운데)이 지난 15일 오전 울산 화력발전소 보일러타워 붕괴사고 현장 인근에서 브리핑하고 있다. ⓒ 연합뉴스 
 ▲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가운데)이 지난 15일 오전 울산 화력발전소 보일러타워 붕괴사고 현장 인근에서 브리핑하고 있다. ⓒ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의 산업재해와의 전쟁 선포에도 올해 산재사망자는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2022년 통계 집계 이후 매년 감소세를 유지하던 산재 사망자가 처음으로 증가세로 전환됐다.

26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산재 현황 부가통계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재해조사 대상 사망자는 457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명(3.2%) 증가했다.

사고 건수도 411건에서 440건으로 7.1% 늘었다.

산재 사망자는 1~9월 기준 △2022년 510명 △2023년 459명 △지난해 443명 등으로 감소해 왔지만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산재 정책을 두고 실효성 논란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노동부는 지난 9월 중대재해 발생 공공기관의 기관장을 해임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기업이 자발적으로 안전 정보를 공개하는 안전보건공시제를 도입한다는 내용의 '노동안전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금융당국도 노동안전 종합대책의 후속 조치로 중대재해 발생 기업에 대한 경제적 불이익을 강화하는 조치를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류현철 노동부 산업안전보건본부장은 "산재 통계는 후행지표"라며 "정책이 일선 현장까지 닿는 데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확한 원인을 찾으려 노력하고 있고 촘촘한 대책을 세우겠다"고 덧붙였다.

노동부 관계자는 "현 상황을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며 "4분기에는 중대재해 감축이 이뤄질 수 있도록 취약 분야를 중심으로 예방 활동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