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이프타임즈가 2024년 특별기획으로 기업과 기관의 중대재해 현황과 안전최고 책임자를 살펴보는 CSO 코너를 마련합니다. ⓒ 세이프타임즈
▲ 세이프타임즈가 2024년 특별기획으로 기업과 기관의 중대재해 현황과 안전최고 책임자를 살펴보는 CSO 코너를 마련합니다. ⓒ 세이프타임즈

사업장에서 중대재해가 발생할 경우 안전·보건 확보 의무를 소홀히 한 사업주나 경영책임자를 1년 이상 징역이나 10억원 이하의 벌금을 물리게 한다.

2022년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의 핵심 내용이다. 상시 근로자 50명 이상이나 공사금액 50억원 이상의 사업장에 적용된다.

중대재해처벌법 유예 법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가 무산돼 지난 27일부터 5인 이상 50명 미만 사업장에도 법이 확대 시행되고 있다.

법 시행 이후 기업은 사고 예방에 전권을 부여한 최고안전책임자(CSO·Chief Safety Officer)를 선임해 산업재해 대응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CSO는 기업의 안전보건과 관련된 조직·인력·예산 운용을 맡아 안전 사고를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세이프타임즈가 기업과 기관의 중대재해, 안전사고 실태를 점검하고 CSO, 안전관리자를 탐구하는 연중 기획을 시작한다. [편집자]

▲ 포스코의 이백희 안전환경본부장. ⓒ 세이프타임즈
▲ 포스코의 이백희 안전환경본부장. ⓒ 세이프타임즈

■ 포스코 이백희 부사장

포스코의 안전환경본부장은 이백희 부사장이다.

1964년생으로 부산대 금속학과를 졸업했다. 2018년 포스코 광양제철소 선강담당 부소장을 거쳐 2020년 포스코퓨처엠 내화물본부장을 역임하고 2022년 포스코 포항제철소장을 지냈다.

2021년 포스코는 모든 임직원이 안전과 보건에 대한 경영방침을 명확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안전보건경영방침'을 두 가지 핵심 사항으로 개편했다.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쾌적한 노동 환경을 조성하는 것과 모든 관계사 직원의 재해와 질병 예방을 위해 유해위험요소를 사전에 파악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한다는 내용이었다.

이를 위해 포스코는 조직을 대대적으로 개편하고 안전·보건 투자를 대폭 확대했다. 안전환경본부와 보건기획실, 제철소 내 건강증진센터 등을 운영하고 안전기획실과 안전방재그룹에 공정안전관리 전담 조직을 마련했다.

■ 2018년

◇ 2018년 1월 25일 포항제철소 내 산소공장에서 외주업체 노동자 4명이 질소가스에 질식해 모두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산소공장 내 배관 밸브를 제대로 잠그지 않았고 개폐 모니터링 업무를 소홀히 해 발생한 인재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 3월 중순 광양제철소 원료부두 내에서 일하던 하도급 업체 노동자가 흙더미에 맞아 어깨뼈가 부러지는 중상을 입었다.

◇ 4월 2일 광양제철소 협력업체 공장동 사일로 작업현장에서 일하던 노동자 한 명이 작업 도중 손가락 4개가 절단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를 당한 노동자는 사일로 더스트 호퍼작업을 하고 있었다. 사고 직후 해당 노동자는 인근 병원에서 응급처지를 받고 대형병원에서 접합 수술을 받았다.

◇ 6월 30일 오전 7시 53분쯤 광양제철소 2제강공장 철강반제품 정정라인 현장에서 일하고 있던 하도급업체 노동자 한 명이 가동 철강반제품 정정라인 크레인 설비에 끼이는 사고를 당했다.

노동자는 2면 머신스카프에서 버켓사이드에 달라붙은 찌꺼기 제거작업을 하다가 버켓이 닫히면서 사고를 당한 것으로 추정됐다. 사고 직후 출동한 119구급대에 후송돼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끝내 숨졌다.

◇ 2018년 12월 11일 오후 2시 30분쯤 포스코 광양제철소 연주 수리공장에서 연주기 주형 수리 작업을 하던 협력업체 노동자 한 명이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고리에 안면부를 맞았다.

해당 노동자는 주형 부속을 분해하기 위해 단변에 아이볼트를 설치한 뒤 주형 부식방지용 실리콘을 제거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 2019년

◇ 2018년 2월 2일 포항제철소 신항만 5부두에서 작업하던 노동자 한 명이 동료직원이 작동한 크레인에 끼여 숨졌다.

◇ 6월 1일엔 광양제철소 니켈 추출설비공장에서 배관 보수업무를 하던 하도급 업체 노동자 한 명이 폭발사고로 숨지고 직원 1명이 중상을 입었다.

◇ 7월 11일 포항제철소 코크스 원료 보관시설에서 한 노동자가 전신의 뼈가 골절된 채 발견됐다. 발견 즉시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끝내 사망햇다.

◇ 7월 15일 포스코 코크스 보관시설에서 일하던 하도급 업체 노동자 한 명이 10m아래로 떨어져 골절상을 입었다.

◇ 7월 17일 하도급 업체 노동자 한 명이 안전난간대를 설치하다 5m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를 당했다.

◇ 12월 24일 오후 1시 14분쯤 광양제철소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배열발전 축열설비 연구과제를 수행하던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직원 5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당시 큰 폭발음과 함께 검은 연기가 하늘로 솟구쳤고, 이순신대교 출입이 일시 통제됐다.

■ 2020년

◇ 2020년 11월, 포스코 광양제철소 1고로에서 산소배관 균열로 인한 폭발사고가 발생해 현장에 있던 노동자 3명이 숨졌다.

■ 2022년

◇ 2022년 1월 20일 오전 9시 50분쯤 포항제철소 화성부 3코크스 공장에서 스팀 배관 보온작업자에 대한 안전감시를 하던 하도급업체 노동자 한 명이 장입차량에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했다.

장입차는 쇳물 생산에 필요한 연료 코크스를 오븐에 넣어주는 장치다. 사고 당시 현장에는 안전지킴이를 포함해 7명이 있었다. 해당 노동자는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끝내 숨졌다.

◇ 2월 8일 오전 7시 30분쯤 포스코 포항제철소 4선재공장 압연기에서 가이드 롤러 교체 작업을 하던 노동자 한 명이 쓰러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직후 구급차가 출동했지만 결국 사망했다.

당시 사망 원인은 불명으로 안전사고나 중대재해로 인한 사고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 4월 7일 오후 2시쯤 광양제철소 합성천연가스(SNG) 설비 철거현장에서 케이블 하역작업을 하던 건설업체 노동자가 7m 높이에서 추락했다. 사고를 당한 노동자는 곧바로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도착 직후 사망했다.

당시 포스코는 SNG에 대해 매각 입찰 공고를 내고 수의계약 방식으로 철거 전문업체인 성도건설산업과 매각 계약을 맺었다. 포스코는 매각 이후 성도건설이 해체 작업을 진행했기 때문에 포스코와 무관한 사고라고 밝혔다.

◇ 4월 7일 광양제철소 코크스공장에서는 중장비가 협력업체 노동자를 추돌해 왼쪽 팔이 절단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 9월 14일 오전 10시 포스코 협력업체 노동자 한 명이 고로에서 나온 찌꺼기를 저장·이송하는 용기 내부를 청소하다가 2m 높이에서 떨어졌다. 고로 대보수작업에 투입됐던 노동자는 추락 후 40분이 지나서야 심정지 상태로 발견됐다.

당시 포스코는 노동자의 사고도 제대로 인지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 2023년

◇ 2023년 3월 22일, 포스코 광양제철소 1열연 공장에서 포스코DX 협력업체 노동자 한 명이 감전사고를 당했다. 해당 노동자는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지만 결국 숨졌다.

◇ 4월 7일 오후 12시 30분쯤 서울 강남 포스코 사옥에서는 30대 남성 직원이 떨어져 사망했다. 경찰은 남성이 투신한 것으로 추정했다.

◇ 8월 22일 광양제철소 1열연 공장에서 CCTV 케이블 설치 작업을 하던 포스코DX 하도급업체 노동자 한 명이 감전으로 의식을 잃고 쓰러졌다. 

해당 노동자는 메인 전기실 지하 공동구에서 통신케이블 포설작업을 하다가 도전부에 몸이 닿아 감전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노동자 혼자 지하 컬버트에 들어가 작업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를 당한 노동자는 곧바로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지만 사망했다.

◇ 11월

11월 9일 포항제철소 코크스 공장의 한 현장에서 노동자들이 배달 도시락을 먹고 구토와 설사 등을 하는 식중독 증세를 보였다. 식중독 증상을 보인 노동자들은 228명까지 늘어났고 이 가운데 100명이 넘는 노동자가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11월 13일 오후 8시 30분쯤 식중독으로 통원치료를 받던 한 노동자가 회사 숙소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숨진 노동자는 평소 고혈압과 간 질환 등 지병을 앓고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해당 도시락 업체는 영업장 폐쇄 처분을 받았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