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재생에너지 목표는 실망스럽다" (RE100 최고 책임자 헬렌 클락슨)
"현재 한국 정부 계획으로는 RE100 달성이 불가능하다" (RE100 대표 올리버 윌슨)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적 압박이 커지고 있지만, 전문가들이 얘기한 것처럼 한국은 RE100 준비에 미흡하다.
RE100 전문가들이 한국 기업의 목표 달성이 현재 정책으로 어렵다고 경고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RE100(Renewable Electricity 100%)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을 100% 친환경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글로벌 캠페인이다. 태양광·풍력·수력·바이오매스·지열 등은 포함되고 원자력은 제외된다.
2014년 뉴욕 기후주간에서 시작됐다. The Climate Group과 CDP(Carbon Disclosure Project)가 파리협정을 지지하기 위해 발족했다. 참여한 기업들은 2050년까지 100% 달성을 목표로 한다. 2030년까지 60%, 2040년까지 90% 이상을 권고받는다.
한국은 36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사용 실적은 제3기관 검증 후 CDP 보고서를 통해 공개된다. RE100은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의 핵심 캠페인이다.
RE100에 참여하지 않은 기업들은 △수출 경쟁력 저하 △거래처 관계 악화 △재생에너지 조달 어려움 △환경 규제 강화 등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겪을 수 있다.
수출 시장에서 재생에너지 사용은 필수 조건이 됐으며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 주요 산업의 수출액이 급감하고, 거래처의 계약 중단 위험이 커진다.
재생에너지 조달 시스템이 미흡한 한국은 글로벌 시장의 환경 기준에 부합하지 못해 규제와 제재에 직면할 수 있다.
2023년 기준 한국의 재생에너지 비율은 9%다. 세계 평균(30.3%)과 OECD 평균(33.5%)에 크게 못 미친다. 태양광·풍력 비율은 5%로 일본(12%)과 중국(16%)보다 낮아 OECD 최하위 수준이다.
중국(30%)은 정부 주도 정책으로 세계 최대 재생에너지 생산국이 됐다. 미국(22%)은 주정부 지원으로 빠르게 성장 중이다. 일본(12%)은 태양광 발전을 중심으로 점진적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한국의 RE100 달성은 △낮은 재생에너지 비중(7.2%) △구매 옵션 부족 △기업 참여 저조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다. 2030년 재생에너지 공급은 수요의 56%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되며, 기업은 높은 비용(35%)과 인프라 부족(23.7%)을 장애물로 꼽는다.
글로벌 공급망 압력 속에서 인프라 확충과 정책적 지원이 절실한 이유다.
RE100 달성을 위해 기업은 △전력구매계약(PPA) △신재생에너지 인증서(REC) 구매 △자체 재생에너지 설비 구축 등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애플과 구글은 글로벌 운영에서 PPA와 REC 구매로 100% 재생에너지를 이미 달성했다.
RE100 목표 달성을 위해 한국은 △재생에너지 인프라 확충(대규모 발전소·스마트 그리드) △ 정책 지원(PPA 완화·보조금 확대) △전력 시장 개혁 △에너지 저장(ESS) 기술 발전 △기업과 시민의 참여 촉진(공공-민간 협력·시민 캠페인) 등을 강화해야 한다.
한국은 RE100 목표를 상향하고 정책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재생에너지는 단순한 비용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투자다.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의 보고서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발전 비용은 이미 화석연료보다 낮아졌다. 이는 재생에너지가 환경 보호뿐만 아니라 경제적 가치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세계 각국과 글로벌 기업들이 재생에너지 설비 확대와 기술 개발에 적극 투자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전 세계가 달리는 에너지 전환의 트랙에서 한국형 RE100은 늦은 만큼 더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 경제 경쟁력은 한국형 RE100의 성공 여부에 달려 있다.
더 이상 지체할 시간이 없다. 정부, 기업 등 모든 이해관계자가 협력하고 혁신을 이뤄 따라 잡아야 한다. 이제 행동할 시간이다.
■ 조찬희 논설위원·지속가능연구소 연구위원 △컨설팅학박사 △경영지도사 △저서 '트윈 트랜스포메이션'
관련기사
- [조찬희 칼럼] AI시대의 마스터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 [조찬희 칼럼] 트럼프만 모르는 '탄소발자국'의 경제적 이익
- [조찬희 칼럼] '요술램프' AI와 공존하고 싶나요
- [조찬희 칼럼] '지구온난화' 개인의 작은 노력으로 늦출 수 있다
- [조찬희 칼럼] 미래의 성공 열쇠 '디지털 리터러시'
- [조찬희 칼럼] 아이덴티티의 비밀코드 '페르소나'
- [조찬희 칼럼] '프롬프트 템플릿' 없다면 AI 답변 뻔하다
- [조찬희 칼럼] 대한민국 산업 CBAM 장벽을 넘어야 미래가 있다
- [조찬희 칼럼] 말이 통하지 않는 AI '프롬프트 레시피'가 정답
- [조찬희 칼럼] '온실가스의 위협' 우리의 선택은?
- [조찬희 칼럼] Z세대에서 중장년층으로 전염된 '뇌 썩음'
- [조찬희 칼럼] 모르면 당한다 '보이스피싱'의 정체
- [조찬희 칼럼] "검찰청인데요. 당신의 SK 유심정보 유출됐습니다"
- [조찬희 칼럼] 지구의 비명소리 '기후위기'에 침묵하는 인간
- [조찬희 칼럼] 보이스피싱 차단할 수 있는 3가지 원칙
- [조찬희 칼럼] '고액알바' 미끼에 걸린 대학생의 후회
- [조찬희 칼럼] 보이스피싱에 당하지 않는다는 착각
- [조찬희 칼럼] 교실로 들어온 AI '학생 잠재력' 깨우다
- [조찬희 칼럼] 당신의 믿음을 노린 '그 전화'의 비밀
- [조찬희 칼럼] 종이책의 귀환, AI 교과서에 대한 경고
- [조찬희 칼럼] 혜택은 미끼, 세상에 공짜는 없다
- [조찬희 칼럼] 그들은 왜 젊은 직장인을 노리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