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 크루즈(에단 헌트)는 미션임파서블 시리즈에서 철통 보안을 뚫고 임무를 수행한다. 그는 CIA본부, 바티칸 비밀금고, 러시아 크렘린궁의 보안시스템을 돌파한다.
에단 헌트팀은 안구 인식 우회, 암호 생성, 무선 해킹 도구로 보안을 해제한다. 정확한 도구와 계획이 없다면 임무수행은 불가능하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Prompt Engineering)과 유사하다. AI와의 대화에서 명확한 지시는 지식의 금고를 여는 열쇠다.
에단 헌트팀이 첨단 장치를 설계하듯, AI 사용자는 프롬프트 엔지니어가 되어 AI 모델을 조종할 수 있다. 잘못된 입력은 실패, 올바른 입력은 성공을 만든다.
AI시대, 당신은 지식의 문을 여는 마스터키를 쥐고 있는가? 그것이 바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생성형AI(기존 데이터를 학습해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는 인공지능 기술) 성능을 극대화하는 핵심기술이다.
사용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적절한 형식과 구문을 선택해야 한다. 텍스트 생성, 이미지 제작, 프로세스 자동화 등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 제작에 필수적이다.
정확한 프롬프트는 시간을 절약하고 더 나은 결과를 보장한다. AI의 창의적 잠재력을 끌어내며 일관된 응답과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더 효율적이고 개인화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AI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유용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는 3가지 요소가 있다.
우선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요청을 명확하게 구성하는 기술이다.
회사 대표이사 취임사를 준비한다고 가정하자. 입력-처리-출력의 구조화된 입력(Structured Input)을 예로 들어보자.
△ 입력 : [목적]= 대표이사 취임사, [대상]= 임직원 및 이해관계자, [내용]= 비전 제시, 경영 철학 설명, 동기 부여, [문체]= 공손하고 힘 있는 어조
△ 처리: 당신은 새 대표이사로서 상단 입력을 반영해 취임 연설문을 작성한다.
△ 출력: [분량]= 1000자 이상.
다음으로 질문개선(Question Refinement)은 AI가 사용자 의도를 정확히 이해하도록 돕는 과정이다.
모호한 질문은 부정확한 답변을 초래할 수 있다. 질문을 구체적으로 바꾸면 AI의 응답 정확도가 높아진다.
지시를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문서를 요약해줘' 대신 '이 문서를 3문장으로 요약해줘'처럼 구체적으로 요청해야 한다.
'회사의 매출과 비용 분석' 대신 '회사의 월별 매출 추세를 분석해줘'처럼 세분화된 질문도 필요하다.
구조화된 예시를 제공하면 효과적이다.
'다음 형식으로 답변해줘 : [항목 1: ..., 항목 2: ...]'처럼 요청한다. 긍정적인 표현을 사용하면 이해가 더 쉬워진다.
테스트와 최적화를 반복하면 AI와의 상호작용이 점점 개선된다.
마지막으로 뒤집힌 상호작용(Flipped Interaction)은 AI가 사용자에게 질문을 던져 대화를 주도하는 방식이다.
사용자가 '이탈리아 여행 계획을 세워줘' 대신 '여행 계획에 필요한 정보를 질문해줘'라고 요청하면, AI는 여행 기간, 활동 선호도, 예산 등을 물어본다.
이 접근법은 사용자 요구를 정확히 이해하고 맞춤형 솔루션을 제안하는 데 유용하다.
건강 상담에서는 증상, 생활 습관 등을 질문해 맞춤형 조언을 제공한다. 교육 대화에서도 효과적이다. AI는 학습 목표나 현재 수준을 물어보고 적합한 학습 계획을 제안할 수 있다.
필요한 정보를 능동적으로 수집하면 개인화된 결과를 만들 수 있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디지털 시대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강력한 도구다. 그러나 인간의 창의성과 윤리적 책임은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기술은 방향을 제시할 뿐, 그 활용 방식은 인간에게 달려 있다.
스티브 잡스는 "기술은 아무것도 아니다. 중요한 것은 사람들을 믿는 것이다. 그들에게 도구를 주면 놀라운 일을 한다"고 말했다.
AI를 단순한 도구로 볼지, 인간의 가치를 강화하는 동반자로 여길지는 우리의 선택이다.
당신은 AI를 창의적 도구로 활용하는가, 효율성만을 추구하는가, 아니면 관심을 두지 않는가?
선택은 당신에게 달려 있다.
■ 조찬희 세이프타임즈 논설위원 △컨설팅학박사 △경영지도사 △저서 '트윈 트랜스포메이션'
관련기사
- [조찬희 칼럼] 트럼프만 모르는 '탄소발자국'의 경제적 이익
- [조찬희 칼럼] '요술램프' AI와 공존하고 싶나요
- [조찬희 칼럼] '지구온난화' 개인의 작은 노력으로 늦출 수 있다
- [조찬희 칼럼] 미래의 성공 열쇠 '디지털 리터러시'
- [조찬희 칼럼] 'RE100'실천 이젠 행동할 때다
- [조찬희 칼럼] 아이덴티티의 비밀코드 '페르소나'
- [조찬희 칼럼] '프롬프트 템플릿' 없다면 AI 답변 뻔하다
- [조찬희 칼럼] 대한민국 산업 CBAM 장벽을 넘어야 미래가 있다
- [조찬희 칼럼] 말이 통하지 않는 AI '프롬프트 레시피'가 정답
- [조찬희 칼럼] '온실가스의 위협' 우리의 선택은?
- [조찬희 칼럼] Z세대에서 중장년층으로 전염된 '뇌 썩음'
- [조찬희 칼럼] 모르면 당한다 '보이스피싱'의 정체
- [조찬희 칼럼] "검찰청인데요. 당신의 SK 유심정보 유출됐습니다"
- [조찬희 칼럼] 지구의 비명소리 '기후위기'에 침묵하는 인간
- [조찬희 칼럼] 보이스피싱 차단할 수 있는 3가지 원칙
- [조찬희 칼럼] '고액알바' 미끼에 걸린 대학생의 후회
- [조찬희 칼럼] 보이스피싱에 당하지 않는다는 착각
- [조찬희 칼럼] 교실로 들어온 AI '학생 잠재력' 깨우다
- [조찬희 칼럼] 당신의 믿음을 노린 '그 전화'의 비밀
- [조찬희 칼럼] 종이책의 귀환, AI 교과서에 대한 경고
- [조찬희 칼럼] 혜택은 미끼, 세상에 공짜는 없다
- [조찬희 칼럼] 그들은 왜 젊은 직장인을 노리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