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은 식품업체가 주요 수출국 최신 규제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해외 진출 확대를 위해 식품 알레르기 유발물질 분석을 시범적으로 지원한다. ⓒ 식품안전관리인증원
▲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은 식품업체가 주요 수출국 최신 규제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해외 진출 확대를 위해 식품 알레르기 유발물질 분석을 시범적으로 지원한다. ⓒ 식품안전관리인증원

국내 식품업체 주요 수출국 정부는 알레르기 유발물질을 지정해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국가별 알레르기 유발물질 종류와 표시 방법에 차이가 있어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판단에 따라 본격적인 지원방안이 모색된다.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해썹인증원)은 주요 수출국 최신 규제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수출식품 부적합 발생을 방지하는 등 국내 식품의 해외 진출 확대를 위해 '식품 알레르기 유발물질 분석'을 시범적으로 지원한다고 11일 밝혔다.

최근 3년간 미국 수출 한국산 식품 부적합 건수 890건 중 표시기준 위반이 619건(69.6%)으로 1위를 차지했다. 그 중 알레르기 유발물질 미표기 등이 297건(33.4%)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썹인증원은 △주요 수출국 알레르기 관리 기준 △수출제품 원·부재료와 표시사항 △업체 알레르기 관리 기준 △제조 환경, 완제품 시험·분석 △분석결과에 대한 원인분석과 개선방안을 마련했다.

내년부터는 수출국 규제 대응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알레르기 관련 기술지원, 사례집 개발 등 지원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한상배 해썹인증원장은 "알레르기 관리 지원, 식품안전 담보, 수출국 정부 현지실사 대응 등 국내 식품업체의 수출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