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시가 9년 만에 대중교통 요금을 내년 1월 1일부터 인상한다. ⓒ 오선이 기자
▲ 대전시가 9년 만에 대중교통 요금을 내년 1월부터 인상한다. ⓒ 오선이 기자

내년 1월부터 대전시 시내버스·도시철도 일반요금이 인상된다.

22일 시에 따르면 대중교통 요금 인상은 지난 15일 시 소비자정책위원회 심의를 통해 최종 확정됐다.

내년 1월부터 시행되는 시내버스 요금은 일반 1500원, 청소년 750원, 어린이 350원이며 도시철도 요금은 일반 1550원, 청소년 880원, 어린이 550원으로 부과된다.

시내버스와 도시철도 간의 환승은 청소년, 어린이의 경우 기존과 동일하게 무료 이용이 가능하나, 일반요금의 경우 버스에서 도시철도로 환승 시 차액에 대한 부분이 50원이 추가로 부과된다. 도시철도 이용 후 버스로 환승하는 경우에는 차액이 부과되지 않는다.

그동안 인건비·연료비 등 운송비용의 지속 상승과 노후시설 교체를 위한 대규모 비용 발생, 코로나19 이후 수입금 감소 등으로 시의 시내버스와 도시철도에 대한 재정지원금은 2015년 643억원에서 올해 1938억원으로 크게 늘어난 상황이다.

현재 102개 노선, 1015대의 차량으로 운행되는 시 시내버스는 2005년 7월 4일부터 준공영제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운수사업자의 운송비용과 운송수입금 차액 보전을 위해 시가 매년 운수사업자에게 재정지원금을 지급해 오고 있다.

2015년 요금 인상 시에는 재정지원금이 383억원으로 2019년까지 운송비용의 30% 이내였지만, 코로나19 이후 지난해에는 1166억원으로 급격히 상승해 운송비용의 50%를 차지하게 됐다.

코로나19 이후 승객 이용률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2019년 대비 15%가 감소한 상황으로 올해 재정지원금 규모가 1233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2006년 개통 이후 시민의 주요 대중교통수단으로 자리 잡은 대전도시철도 1호선도 상황은 비슷하다. 단일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하루평균 10만명이 이용하는 등 도심 교통난 해소에 크게 기여하고 있자만 도시철도 운영 적자 폭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대전교통공사는 신규 철도사업 수주, 태양광 부지 임대 사업, 광고 부대 수익 창출 등 누적되는 적자 폭 개선을 위해 노력해 왔지만 개통 후 17년 지난 노후화시설의 교체, 안전 투자 비용 증가, 무임승차 지원 대상 확대 등으로 인해 시 재정지원금은 2015년 260억원에서 2023년 705억원으로 크게 늘어나 요금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2015년 이후 9년만에 추진하는 요금 인상에도 불구하고 운영기관에 지원되는 내년 재정지원금은 1800억원으로 추산된다"며 "미래 세대의 부담을 덜고 안전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환경 마련과 서비스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