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28일 올해 쌀 생산단수가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산지유통업체와 생산자단체 의견, 농촌진흥청·한국농촌경제연구원 자료를 종합한 결과 올해 작황은 평년보다 좋고 지난해보다 도정수율도 높을 것으로 분석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 23일 통계청, 농진청 등 관계기관과 전국 산지유통업체 대표, 소비지 유통업계와 올해 수확기 수급 전망과 산지 동향에 대해 논의했다.
농경연은 일조시간 증가와 일교차 확대 등 기상 여건이 좋아 벼 생육이 양호하며 지난해 정부양곡 대여곡 반납 물량을 감안해도 올해 쌀 생산량이 수요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농식품부는 다음달 2일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2025년산 쌀 예상 생산량을 바탕으로 수확기 쌀 수급안정대책 마련할 계획이다.
또 정부, 생산자, 산지유통업계, 소비지업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양곡수급안정위원회를 다음달 13일(잠정) 개최해 '올해 쌀 수확기 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변상문 식량정책관은 "올해 작황을 보면 쌀 소비 감소를 감안하더라도 다소 과잉 생산이 예상된다"며 "수확기 쌀 수급과 가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안정화를 위해 차질 없이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미영 기자
odongkim@safetimes.co.kr
관련기사
- 송미령 장관 '농축산물 할인' 현장 점검
- K-ODA 기업 젤텍 'UN 식품조달시장' 첫 진출
- 농식품부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 개최
-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 '경기 가축방역' 점검
- 농식품부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추진
- 농식품부-나폴리맛피아 '청년식탁' 파인다이닝
- 농식품부 LPG 화물자동차 면세유 배정량 '확대'
- 농식품부 '2025 K-푸드 플러스 수출탑' 공모
- 농식품부 '맹견사육허가제' 개선 방안 발표
- 원산지인증제 '폐지' … "원산지 표시제는 유지"
- 정부 '햅쌀' 16.5만톤 초과 예상 … 10만톤 격리
- 검역본부 국내 최초 동물학대 '약독물 검사' 국제공인
- 벼 '깨씨무늬병' 농업재해로 인정 … 피해조사 착수
- 도축장 '외국인 비자' 신설 … 인력난 해소 기대
- 농식품부-행안부 '전북 김제 AI' 방역 점검
- "식량자급률 55.5% 목표, 농지 감소로 식량안보 위협"
- 정부-외식 업계 '물가 안정' 협력 논의
- K푸드+ 수출 112억 달러 … 전년대비 5.7% 증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