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가 개물림사고 예방과 반려견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맹견사육허가제 제도 개선 방안'을 1일 발표했다.
맹견사육허가제는 반려견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맹견을 사육하고 있거나 사육하려는 사람에 대해 시·도지사의 허가를 받도록 한 제도다.
주요 개선 내용으로 고령·질병 등으로 중성화 수술이 어려운 맹견의 경우 면제 또는 유예가 가능(단 번식금지 의무 부과)하며 외출이 불가한 맹견은 기질평가 생략 후 사육장소에 한정된 사육 허가가 발급된다.
또 사육 허가 전 안전관리 교육 이수 의무화와 3년 주기 갱신제를 도입한다. 맹견 탈출 시 소유자는 즉시 신고해야 하며 허가를 완료한 맹견은 인식표에 허가 완료 여부르 표시하도록 한다.
농식품부는 내년 말까지 관련 법령을 개정할 계획이며 그 전까지는 단속보다는 제도 홍보와 허가 신청 지원에 중점을 둘 방침이다.
동물등록, 책임보험 가입, 입마개·목줄 착용 등 맹견의 안전관리와 관련한 준수사항은 지속적으로 점검된다.
박정훈 동물복지환경정책관은 "개물림사고 예방 취지를 유지하면서도 맹견 건강 상태에 따라 허가 요건을 선택 적용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며 "건강한 반려문화의 확산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노력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김미영 기자
odongkim@safetimes.co.kr
관련기사
- 농식품부 '2025 K-푸드 플러스 수출탑' 공모
- 농식품부 LPG 화물자동차 면세유 배정량 '확대'
- 농식품부 "올해 쌀 작황, 평년보다 양호"
- 송미령 장관 '농축산물 할인' 현장 점검
- K-ODA 기업 젤텍 'UN 식품조달시장' 첫 진출
- 원산지인증제 '폐지' … "원산지 표시제는 유지"
- 정부 '햅쌀' 16.5만톤 초과 예상 … 10만톤 격리
- 검역본부 국내 최초 동물학대 '약독물 검사' 국제공인
- 벼 '깨씨무늬병' 농업재해로 인정 … 피해조사 착수
- 도축장 '외국인 비자' 신설 … 인력난 해소 기대
- 광주 기러기 농장서 'H5형 AI' 항원 확인
- 농식품부-행안부 '전북 김제 AI' 방역 점검
- 폭설·강풍 대비 원예시설 설계기준 강화
- K푸드+ 수출 112억 달러 … 전년대비 5.7% 증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