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년간 국내 15대 은행에서 발생한 임직원 횡령액이 1500억원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리은행 횡령액은 735억원으로 전체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4일 유동수(더불어민주당·정무위원회)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지난 7월까지 국내 15대 은행 임직원이 저지른 횡령 사건은 109건으로 그 규모는 1536억원에 달한다.
우리은행은 13건의 사건으로 735억원을 횡령해 전체 은행 횡령액의 48%를 차지했다. 우리은행 횡령 사고는 2022년 한 해에만 713억원 규모로 발생했다.
경남은행이 596억원(4건)으로 뒤를 이었으며 하나은행 65억원(24건), 기업은행 32억원(14건), 농협은행 31억원(19건) 순이었다.
이들 은행에서 발생한 횡령 사고 대부분은 대형사고로 단일 사건에서 수백억원대의 손실이 발생했다.
잇단 횡령 사고에도 환수 실적은 매우 저조한 상황이다. 2018년부터 지난 6월까지 은행권의 횡령액 환수율은 단 6.9%에 불과해 1450억원가량이 회수되지 않았다.
특히 우리은행의 경우 횡령액 735억원 가운데 단 10억원(1.5%)만이 환수됐다.
금융당국은 횡령 사고를 줄이기 위해 2018년과 2022년 내부통제 혁신 방안을 발표했지만 이후에도 금융사고가 계속되면서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유 의원은 "금융당국의 부실한 대책과 구멍 뚫린 금융권의 내부통제 관리는 물론 경영진에 대한 솜방망이 처벌이 금융사고를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금감원은 우리금융지주와 우리은행에 대한 경영실태평가에 착수할 예정이다.
경영실태평가는 금융기관의 경영 부실 위험을 평가하는 것으로 우리금융이 2등급 이하를 받으면 현재 추진하고 있는 동양생명과 ABL 생명 인수 계획이 무산될 수 있다.
금융권에선 손태승 전 회장 친인척 관련 부적정 대출 사건으로 우리금융이 경영실태평가에서 2등급 이상을 받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 NH농협은행 '또' 100억대 금융사고 발생
- 우리은행, 이번엔 손태승 전 회장 친인척에 부정대출 '들통'
- 은행 금전사고 662억 원 돌파 … '5개월'만에 지난해 수준 도달
- 올해 금융권 '횡령 사고' 무려 11건 … 환수율은 고작 '9.7%'
- 우리은행 매년 금융사고 126억원 … 시중은행 절반 차지
- 1400억이 아니라고? … 경남은행 간부 1600억원 추가횡령 확인
- 이복현 금감원장 "우리금융 나눠먹기 문화 팽배"
- 우리은행 부당대출 '의혹' 손태승 전 회장 처남 구속
- 우리은행 횡령·배임 1위 '오명'
- 또 55억 사기 … 우리은행 금융사고 단골
- 주택관리사협회 임직원 '쌈짓돈' 된 공금
- '금융사고 601억' 경남은행 회수는 0.1%
- 우리은행 전 본부장 손태승 처남에 '2억' 수수
- 우리은행 또 금융사고 … 올해만 '네 번째'
- '횡령사고' 경남은행 6개월 'PF 대출'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