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행권 횡령·배임사고 등 금전사고가 잇따르면서 국내 주요 은행들이 사고 예방 대책안을 수립하고 있다. ⓒ 게티이미지뱅크
▲ 은행권 횡령·배임사고 등 금전사고가 잇따르면서 국내 주요 은행들이 사고 예방 대책안을 수립하고 있다. ⓒ 게티이미지뱅크

올해 5월까지 발생한 횡령·배임사고 등 은행의 금전사고 피해액이 지난해 1년간 피해액 수준에 다다른다는 결과가 나왔다.

17일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 5월까지 은행권에서 발생한 올해 금전사고 피해액을 662억원으로 집계했다.

이는 지난해 금전사고액 694억원에 맞먹는 수준이다. 은행 금전사고액은 2019년 102억원, 2020년 69억원에 머물렀지만 2022년에는 915억원까지 치솟았다.

연중 금융사고 발생 흐름이 지속된다면 올해 금전사고액은 1000억원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금융사고가 잇따라 피해액도 나날이 늘면서 우리·NH농협·KB국민 등 국내 주요 은행들도 관리 강화 대책을 마련해나가고 있다.

NH농협은행은 금융사고 근절을 위한 내부통제 강화 종합대책을 수립했다. 금융사고에 대한 임직원들의 책임을 강화하고 내부통제 실효성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다.

이를 위해 내년 초까지 업계 최초 디지털 책무정보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기도 하다.

2년 전 700억원대 횡령 사고에 이어 최근 100억원대 횡령 사고가 또 발생한 우리은행도 내부통제 강화 방안에 대해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이달 초 상반기 정기인사를 통해 준법감시인을 교체하고 본점 준법감시실에 부장대우급 직원 7명을 신규 발령하는 등 감시 조직 강화에 힘쓰고 있다.

우리은행은 암행순찰단을 본부 상설 조직으로 강화하고 영업점 등의 부당대출, 불건전 영업 등을 본점에서 2차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KB국민은행 역시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매달 직급별 금융윤리 교육을 진행하고 조직문화 진단에 내부통제 평가 항목을 신설하는 등 조직문화 개선 방침을 세우고 있다.

그러나 금융사고 피해액 대비 사후 처벌이나 회수액이 현저히 낮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발생한 은행권 금융사고액은 1609억원이었지만 이 가운데 회수금은 2.5%에 불과한 40억4000만원에 그쳤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피해액 대비 회수 비율이 낮아 금융사고에 대한 경각심이 부족하다"며 "최고의 금융사고 예방법은 사후 조치 강화"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