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새벽배송 노동자 사망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2일 국회에서 심야 노동의 위험성과 공적 규제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가 개최됐다.
이날 토론회는 택배노동자과로사대책위원회와 더불어민주당, 진보당 주최로 열렸다.
직업환경의학·산재 전문가들은 한 자리에 모여 과로로 숨진 노동자들의 사례를 분석, 과도한 야간노동으로 인한 산재라고 주장했다.
임상혁 녹색병원장은 쿠팡 과로사 노동자 정슬기씨의 사인에 대해 "급성심근경색증은 대표적인 과로사 질환"이라며 "40~44세 남성 10만명 당 5명으로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고 말했다.
이어 "연속 고정 야간노동은 사회화 장애와 신체화 장애를 발생시킬 수 있어 어느 나라에서도 시행하지 않는다"며 "정씨와 같은 노동조건에서 일하는 쿠팡 노동자들이 있다면 죽음의 행렬이 계속될 위험이 크다"고 경고했다.
한선범 택배노조 정책국장은 "새벽배송 택배 노동자 건강권 보호를 위해 근본적 업무 재설계가 시급하다"며 공적 규제 필요성을 설명했다.
환경노동위원회와 국토교통위원회 의원들도 야간노동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호영 환노위원장은 "격주 2교대 야간근무 도입, 8시간 이상 야간근무 제한 등 공적 규제 도입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국토위 의원들은 지난달 23일 쿠팡 남양주 2캠프를 방문해 로켓배송 현장을 점검하는 등 심야 노동 규제를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의원들은 이달 중 'CLS 연석 청문회'를 열 계획이며 다음 달 환노위 국정감사에도 관계자들을 증인으로 채택할 전망이다.
민지 기자
j060217@safetimes.co.kr
관련기사
- 과로사 정슬기 유족 "쿠팡CLS대표 중대재해법 처벌"
- 쿠팡 택배노동자 잇단 사망에도 정부 개선명령 '0건'
- "쿠팡CLS 책임 묻는다" … 정슬기 과로사 중대재해처벌법 고발
- 잇따른 쿠팡 '과로사'에 국토부까지 나섰다
- 8월 14일 '택배없는 날' 쿠팡에는 없다
- "로켓배송에 노동자 목숨 갈아넣는 쿠팡 바로잡겠다"
- "폭염에도 냉방 가동 안 해" … 택배노조 동서울우편집중국 개선 촉구
- "누군가 죽어야 …" 결국 쿠팡 로켓설치 대리점 대표 숨져
- 정일품 한과공장서 기름 폭발 … 40대 노동자 '전신화상'
- 로켓배송 '시스템 논란' … 과로사대책위 "배송속도 공적규제 필요"
- 고작 노동자 두 명 만난 국토부 "쿠팡 근로환경 문제 없다"
- '과로사·산재' 쿠팡·한화오션 대표 국감 불려나온다
- "사람잡는 쿠팡 노동실태·고용구조 공론화 필요"
- 쿠팡 산재보험료 할증 '1위' … "실태 심각"
- 택배노동자 사망사고 4배↑ 70%가 '과로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