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녹조로부터 '안전한 수돗물 공급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대응체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환경부는 지난 5월 초부터 한달간 유역환경청, 유역수도지원센터, 지자체가 합동으로 조류경보제를 운영하는 102곳 정수장을 대상으로 녹조대응 준비실태를 점검했다.
점검 결과 △취수원·정수장 녹조대응 시설 정상작동 확인 △분말활성탄 적정 비축량 확보 △비상대응 체계 구축 △원·정수에서 조류독소, 냄새물질 감시 등 전반적인 녹조 대비 준비상태가 양호했다.
또 정수장 운영관계자의 조류 대응 역량을 높이기 위해 오는 10일 대전 한국수자원공사 본사에서 '조류 대응 모의훈련과 세미나'를 개최한다.
모의훈련은 정수장 운영관계자와 유역환경청, 유역수도지원센터, 관련 전문가가 참석해 팔당호에서 녹조가 발생해 조류기인물질이 정수장에 유입되는 상황에 대한 대응방법을 시연하고 토론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세미나는 △정수장 조류대응 지침서 △정수처리공정 조류대응 방법 △과거 조류대응 우수사례 등을 공유하고 실제 상황에서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진행한다.
환경부는 올해 여름철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것이라는 기상청 전망과 이상기후로 인한 물위기 가속화 상황을 고려해 녹조 대응 역량 강화에 주력한다.
이승환 물이용정책관은 "여름철 녹조 발생 취약시기 이전에 정수장 준비태세를 사전에 점검했다"며 "정수장 운영관리자 모의훈련을 통해 대응 역량을 강화해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 공급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미영 기자
odongkim@safetimes.co.kr
관련기사
- 6개 국립공원 "안전장비 무료로 빌려 드립니다"
- 환경부 "포스코 탄소중립 브랜드 그리닛 그린워싱"
- 환경부, 경기 첫 액화수소충전소 문 연다 … 통근용 수소버스 '가속화'
- '온실가스 배출권' 주식처럼 위탁거래 한다
- 환경부, '자동차 업계 살생물제 안전관리' 시범사업 추진
- 전기차 정보부터 배터리 재활용까지 … '전기차통합환경센터' 건립된다
- 수자원공사, 한강유역 호우 긴급 점검 … 비상태세 돌입
- '녹조 확산' 우려 … 수자원공사 대응책 마련
- 정수시설운영관리사 시험 성적보다는 현장 실무능력 강조
- 먹는 물 수질검사 성적서 허위로 작성하면 기술인력도 처벌
- 추석 연휴 환경오염행위 특별단속 한다
- 환경부·환경공단 "빈틈없는 산업폐수 관리"
- "낙동강 주민 절반 녹조 독성물질 유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