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 2분기 재해조사 사망사고 발생 분석

▲ 고용노동부가 행정정보시스템 재난 위기 대응체계 구축에 나섰다. ⓒ 세이프타임즈
▲ 고용노동부가 2025년 2분기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통계를 발표했다. ⓒ 세이프타임즈

올해 2분기 산업 현장에서 하루 평균 3.15명이 사고로 목숨을 잃은 것으로 집계됐다.

21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5년 2분기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 잠정 결과에 따르면 사망자는 287명으로 전년 동기 296명 대비 9명(3.0%) 감소했다.

하지만 전체 사고는 278건으로 오히려 12건(4.5%) 증가했다.

세이프타임즈가 세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특정 업종과 규모, 지역에 위험이 집중되는 '안전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 가장 치명적인 조합 '건설업과 추락사'

이번 통계에서 사망사고의 대부분은 '건설업'과 '추락'이라는 두 가지 핵심 요소에 집중됐다.

단일 업종으로는 건설업이 전체 사망자의 48%에 달하는 138명의 사망자를 기록했다. 가장 위험한 일터라는 것을 재확인시켰다.

전년 130명 대비 8명(6.2%) 증가한 수치다. 부산 기장군 건설현장 화재(사망 6명)와 세종~안성 고속도로 교량 붕괴(사망 4명) 등 대형 사고가 큰 영향을 미쳤다.

반면 제조업 사망자는 95명에서 67명으로 28명(29.5%) 급감, 뚜렷한 대조를 보였다.

사망에 이르게 한 가장 결정적인 사고 유형은 추락이었다. 129명이 작업 중 떨어져 목숨을 잃었다.

전체 사망 원인의 44.9%를 차지하는 압도적인 수치다. 특히 추락 사망자는 전년 동기(109명) 대비 20명(18.3%)이나 급증했다. 전체 사고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지난해 36.8%에서 크게 늘어났다.

'건축·구조물 및 표면'에서 발생한 사망자가 126명으로 가장 많았다는 기인물 통계와도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끼임' 사고 사망자가 41명에서 27명으로 대폭(34.1%)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추락 재해 예방이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금소노조가 금호타이어 노동자 사망사고와 관련해 중대재해 처벌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금속노조
▲ 금소노조가 금호타이어 노동자 사망사고와 관련해 중대재해 처벌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금속노조

◇ 안전 격차 심화 '경기와 소규모 사업장' 위험

사망사고는 특정 지역과 규모의 사업장에 집중되며 안전 수준의 격차를 명확히 드러냈다.

광역지자체 중에서는 경기도가 60명의 사망자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희생자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104명에 비하면 큰 폭으로 줄어든 수치지만, 2위인 경북(33명)과 비교해도 여전히 압도적으로 높다.

오히려 경북지역은 전년 대비 14명(19명→33명), 서울은 9명(22명→31명)이 늘어나는 등 일부 지역에서는 안전 상황이 더욱 악화됐다.

이러한 위험은 사업장의 규모가 작을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커졌다.

50인(억) 이상 사업장의 사망자가 21.3% 감소하는 동안, 50인(억) 미만 소규모 사업장의 사망자는 오히려 176명으로 전년보다 21명(13.5%)이나 증가했다.

특히 문제가 심각한 곳은 5인(억) 미만 영세 사업장으로, 이곳의 사망자는 71명에서 88명으로 무려 23.9%나 급증했다.

▲ 노동자가 추락해 숨진 DL건설 e편한세상 신곡 시그니처뷰 아파트. ⓒ 세이프타임즈
▲ 노동자가 추락해 숨진 DL건설 e편한세상 신곡 시그니처뷰 아파트. ⓒ 세이프타임즈

◇ '고위험군 집중 관리' 행정력 집중 시급

제조업 내에서만 보더라도 대기업(50인 이상) 사망자는 54.1% 급감했다. 반면 소규모(50인 미만) 제조업체 사망자는 14.7% 증가해 '기업 규모에 따른 안전 수준의 양극화'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이번 통계는 '안전 관리 역량이 부족한 5인 미만 영세 사업장' 소속의 근로자(외국인 근로자 38명 포함)가 '경기도를 포함한 전국의 건설 현장'에서 '추락 방지 조치 미비'로 인해 사망하는 전형적인 재해의 고리를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었다.

정부는 사고 위험성이 높은 2만6000개 사업장에 가용 인력을 총동원하여 밀착 관리하는 '안전한 일터 프로젝트'를 지난달 23일부터 추진 중이다.

향후 정부 정책이 통계로 명확히 드러난 재해의 핵심 고리를 끊어내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