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전국에 걸쳐 쏟아진 집중호우로 인해 산사태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면서 인명·재산 피해가 속출했다.
21일 산림청과 행안부에 따르면 경기·강원·충청·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산사태 피해가 집중됐고, 일부 지역에서는 인명피해와 대규모 이재민도 발생했다.
20일 오후 9시 기준으로 18명이 사망하고, 9명이 실종됐다.
지역별로는 경남 산청이 10명으로 가장 많고, 경기 가평 2명, 충남 서산 2명, 경기 오산과 포천, 충남 당진, 광주 북구에서 각각 1명이 사망했다.
경기 양평에서는 산비탈이 무너지며 주택 한 채가 매몰됐고, 강원 홍천에서는 산사태로 인해 도로가 붕괴되며 차량이 휩쓸렸다.
폭우로 인해 전국 10여개 시·군에서 400세대가 넘는 주민들이 주민센터 등에 피신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의 빈도 증가는 산사태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짧은 시간에 많은 비가 내리며 흙 속이 물로 포화돼 지반이 약해지고 결국 토사가 붕괴되는 것이다.
또 △국토의 60% 이상이 산지 △상당수가 경사 20도 이상의 급경사지 △뿌리 고정력이 약한 노령목과 침엽수 단일수림 등 한국 산림의 구조적 특성도 산사태 취약성을 높이는 배경으로 지적된다.
정부는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고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산사태 대응에 나섰다.
대통령과 국무총리는 주요 피해 현장을 점검하고 관계 부처에 "산사태 우려 지역에 대한 선제 예찰과 조기 대피 등 조치하라"고 지시했다.
소방·경찰·군 인력은 산사태 지역에 투입돼 긴급 구조 활동을 벌이고 있으며 일부 지역은 산사태 예보가 경계로 상향됐다.
기상청은 앞으로도 중부와 남부 일부 지역에 추가 집중호우가 예상된다며 2차 피해 우려가 높다고 경고했다.
산림청은 현재까지 확인된 피해 규모와 복구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중이며, 정확한 인명·재산 피해 집계는 추가 조사 후 발표할 예정이다.
행정안전부는 "지반이 약해진 지역에서는 적은 강수에도 추가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산사태 취약 지역 인근 주민들에게 접근 자제를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