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노동자가 벌목 작업을 하고 있다. ⓒ 산림청
▲ 22일 산림청에 따르면 2015~2019년 연평균 벌목 사망사고는 15건, 최근 5년 동안은 14.4건이 발생했다. ⓒ 산림청

벌목 현장에서 작업자가 나무에 깔려 숨지는 사고가 이어져 제도적 보완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2일 산림청에 따르면 2015~2019년 연평균 벌목 사망사고는 15건, 최근 5년 동안은 14.4건으로 올해 상반기에는 5건이 발생했다.

업계 관계자에 의하면 주로 겨울철에 집중되는 벌목 사망사고가 상반기에만 5건 발생한 것은 매우 높은 수치다.

일각에서는 벌목현장 사망사고 원인을 낮은 사업비로 꼽는다.

한 업체 대표는 사업비가 부족하게 책정돼 있어 신호수를 따로 두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또한 공사기한을 무리하게 맞추려다가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덧붙였다.

산림청의 벌목 사업 입찰은 하한선 이상의 가장 낮은 입찰가를 제시한 업체가 낙찰되는 종합심사 낙찰제가 적용된다. 낙찰제도에 의한 사업비 부족이 사고로 이어진다는 의견으로 해석된다.

이들은 제도와 현장의 괴리가 크다고 지적한다.

업계 관계자는 "작업자는 나무 높이 2배 거리만큼 떨어져 있어야 하는 규정이 있지만 현장에서 이를 지키기 어렵다"며 "기계톱 소리에 안전 지시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