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택배노조원들이 쿠팡 배송 수수료 삭감 강행에 대한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택배노조

쿠팡CLS가 또 배송 수수료 삭감을 강행하며 택배 노동자들의 분노가 커지고 있다.

택배노조가 16일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159명 가운데 95%가 수수료 삭감을 경험했고 일부는 건당 180원이 삭감돼 월 135만원의 수입 손실이 우려된다.

노조는 "매년 물가는 오르는데 수수료는 계속 줄어든다"며 "원청 단가는 알려주지도 않아 정확히 얼마를 떼가는지도 모른다"고 주장했다.

쿠팡CLS는 물량이 증가해 수입은 보전될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노조는 "더 많은 배송을 강요하는 과로 유발 대책"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원청 수수료와 관련된 협상 권한이 없어 일방적으로 삭감을 통보받고 있다"며 "쿠팡CLS는 대리점을 통해 노동자들에게 수수료 삭감을 강요하는 구조로 생존권을 위협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쿠팡은 이 같은 노동 현실 등을 알리는 기자들의 기사를 언론중재위원회에 제소하며 '언론 재갈 물리기'를 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진보당 정혜경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 3년간 쿠팡이 언중위에 제소한 기사는 33건으로 손해배상 청구액은 4억원에 달했다.

쿠팡의 제소는 △2022년 6건 △2023년 8건 △2024년에만 19건 등이 이뤄졌다. 특히 2023년에는 손해배상 청구도 함께 제기했다.

쿠팡은 2023년 11월 6일 세이프타임즈 기사에 1억원을 청구하는 등 한겨레·뉴스타파 등 언론사에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손해배상이 성립된 청구 건은 없다.

쿠팡이 제소한 기사 대부분은 노동자 사망사고와 과로사, 산재 등을 다룬 기사로 지난해 언중위 제소 기사 19건 가운데 13건이 쿠팡 노동자 과로사를 다룬 기사였다.

정혜경 의원은 "쿠팡은 '더웠다, 쉴 수 없었다' 등 정황이나 의견이 담긴 내용까지 허위 보도라며 언중위 제소와 법적 소송으로 언론사를 압박하고 있다"며 노동자 사망사고 등 사측 주장과 반대되는 기사를 원천적으로 막으려는 전형적인 언론 재갈 물리기이자 탄압"이라고 말했다.

이어 "쿠팡은 언론 취재 행위 꼬투리 잡기가 아닌 반복되는 노동자 사망에 대해 책임 있게 나서야 한다"며 "오는 21일 예정된 청문회에서 쿠팡의 과도한 언론 소송행위와 노동자 사망사고를 대하는 태도에 대해 따져 묻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