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홈페이지에 식품원료별 위해요소 분석정보와 해썹(HACCP)품목 기준·규격 정보가 제공되고 있다. ⓒ 인증원
▲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홈페이지에 식품원료별 위해요소 분석정보와 해썹(HACCP)품목 기준·규격 정보가 제공되고 있다. ⓒ 인증원

올해는 소규모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인증 업체들이  더욱 다양한 위해요소 정보를 온라인으로 손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된다. 업체는 분석 비용 절감 등 경제적 부담이 해소됨에 따라 효율적으로 해썹을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확대된 식품원료별 위해요소분석 정보식품별 기준·규격 정보를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한다고 8일 밝혔다.

식약처와 인증원은 분석 비용 부담 등으로 위해요소 분석을 자체적으로 진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업체를 지원하기 위해 식품안전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식품원료 163종에 대한 '식품원료별 위해요소분석 정보'를 제공해 오던 것을 올해는 200종으로 확대한다.

새롭게 추가되는 식품원료는 가지·고수(잎)·냉이·미나리·시금치·넙치(광어)·조피볼락(우럭)ㆍ소고기 등 국내 부적합이 잦은 21종과 귀리·두부·올리브유 등 즉석조리식품·즉석섭취식품에 많이 사용되는 식품원료 16종이다.

또 식품원료와 제조방법이 다양해 평소 쉽게 파악하기 어려웠던 식품의 기준·규격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해썹 품목별 기준·규격과 위해요소 분석 정보를 한 번에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도 제공한다.

이로써 업체는 시험·검사 등 위해요소 분석 비용이 연평균 498만원, 인력은 0.4명 절감되고 경제적 부담이 해소됨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해썹을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식약처 관계자는 "제조 공정별 위해요소 분석 정보도 추가로 제공하는 등 업계의 해썹 운영에 대한 이해를 돕고 안전한 식품 제조·유통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