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한국남부발전, 농협경제지주는 온실가스 발생 등 환경오염 우려가 있는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이고, 수계지역 수질 개선·녹조 예방 등을 위해 발전소 등의 가축분 고체연료 활용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는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와 환경부는 8일 남부발전, 농협과 '가축분 고체연료 활용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진행했다.
가축분뇨 중 우분(소똥)은 현재 대부분 퇴비화된다. 이 과정에서 온실가스가 발생하고 하천 인근 등에 쌓이면 비에 씻겨 내려가 녹조를 유발할 수 있다.
우분을 고체연료로 전환할 경우 화석연료 대체 등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과 녹조 예방 등 가축분뇨를 보다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에 환경부는 지난 3월 고체연료 보조원료 확대를 위한 실증특례를 허용했고, 농식품부는 지난 6월 남부발전 시험연소 등을 추진하는 등 고체연료 활성화를 추진했다.
두 부처는 이를 바탕으로 내년부터 남부발전에서 가축분 고체연료를 본격적으로 사용하는 등 대형 산업체 수요를 확보했다.
협약을 계기로 2030년까지 고체연료를 하루 4000톤 사용 목표로 생산시설 확충, 고체연료 품질개선, 수요 확대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목표가 달성되면 연간 160만톤의 온실가스 감축효과는 물론 수질 개선과 녹조 예방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박범수 농식품부 차관은 "남부발전 고체연료 사용은 대형 산업시설의 고체연료 사용 첫 사례로서 산업계에 고체연료 본격 활용을 알리는 신호탄"이라며 "협약기관과 고체연료가 안정적으로 산업계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병화 환경부 차관은 "녹조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간주됐던 소똥으로 석탄 등을 대체할 수 있는 연료를 생산하면서 수질오염까지 줄일 수 있는 획기적인 수단과 방법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이어 "가축분뇨를 적정하게 처리하기 위해 정부 부처간 협업에 그치지 않고 농축산업계, 발전사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지속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이마트 등 6곳 "저탄소 농산물 소비 촉진"
- 경기 여주 한우농장 '럼피스킨' 발생 … 확산 차단 방역
- 강원 양구 한우농장 '럼피스킨' 발생 … 인근 농장 긴급 백신접종
- 친환경축산농가 직불금 실수령액 4000만원으로 인상
- 추석 대비 가축질병 '추가 확산방지' 범정부 비상체계 가동
- 농식품부-식약처 '김장재료 안전' 합동점검
- 농식품부 14일 식품분야 'ESG경영 가이드라인' 포럼
- 농식품부 대설·한파 '재해대책상황실' 가동한다
- 농식품부 '국민이 뽑은 적극행정' 1·2위 '석권'
- 강진 오리·세종 산란계 농장서 AI 항원 확인
- 검역본부-알리, 불법 동식물 수입 '사전 차단' 협업
- AI 방역수칙 위반 농가 '살처분 보상금' 대폭 감액
- 화성 수질 오염 재발 '방지 매뉴얼' 강화
- 위성·드론·AI 활용 '농산물 생산 예측' 정확성 제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