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 점검'을 추진한다.
시는 안전 사각지대 제로를 목표로 9388곳으로 점검 대상을 확대해 진행한다고 7일 밝혔다.
어린이 놀이시설이란 주택단지, 어린이집, 식품접객업소, 대규모점포 등에 그네·미끄럼틀과 같은 놀이기구가 설치된 곳이다.
점검은 오는 8일부터 9주간 진행되며 놀이기구의 부식·파손은 없는지, 정기적으로 시설검사는 이뤄졌는지를 살피고 또 안전관리자가 안전교육을 이수하고 책임보험에 가입했는지 여부도 확인한다.
시설물 관리주체가 시에 등록된 어린이 놀이시설 전체에 대해 안전 점검표에 따라 '자체점검'을 진행하고 자치구가 그 결과를 제출받아 시설물 파손, 노후·청결 상태 등이 적정한지 확인한다.
자치구별로 15곳씩 375곳을 선정해 '표본 점검'도 진행한다. 각 자치구는 노후화된 주택단지·자체점검을 진행하지 않은 경우, 점검 결과상 현장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시설 등을 선정해 점검한다.
민・관 '합동점검'도 추진한다. 자치구별 5곳씩 최소 125곳을 선정해 서울시·자치구·민간전문가가 현장에서 합동으로 시설물의 안전상태와 안전관리 의무 진행 여부 등을 확인한다.
점검 결과 경미한 사항은 현장에서 즉시 수리·교체될 수 있도록 한다. 사고 우려가 있는 노후·위험 시설은 관리 주체에게 안전진단을 받도록 한 뒤 조치 결과를 추후 확인한다.
김성보 재난안전관리실장은 "자라나는 어린이들이 즐겁게 뛰어놀 수 있도록 사전에 놀이시설을 꼼꼼히 점검해 안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어린이와 보호자가 안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서울시, 외국식료품 판매업소 특별단속 … 위법행위 제보 최대 2억원 포상금
- 안전사각지대 해소 … 서울시, 소규모 공동주택 86개 단지 '무상'점검
- 서울 초미세먼지 농도 최저 … 강수량은 최대
- 위생 걱정 뚝 … 서울시, 한강공원 모래놀이터 '고온 스팀 소독'
- 서울 '기후동행카드'에 고양시 참여 … 경기 북부 교통편의 증진
- 서울시, 다중이용시설·신축아파트 등 '실내공기질' 집중점검
- 서울시, 4월동안 '24시간 과적 차량 집중단속'
- 갈등없이 택배받자 … 서울시, 건축 시 화물주차장 의무화 추진
- 세월호 참사 10주년 맞아 '서울이 안전한 날' 운영
- "자전거·PM 안전하게 타세요" … 서울시 맞춤교육 나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