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다중이용시설, 신축아파트 등에 대한 '실내공기질 점검'을 진행한다고 7일 밝혔다.
시는 최근 증가하는 신축 공동주택의 새집증후군 유발물질 관리를 위해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서울연구원과 협력에 나선다.
4월부터 산후조리원, 노인요양시설 등 다중이용시설 500곳과 100세대 이상 모든 신축 공동주택, 지하철 차량 11개 노선에대해 오염도 검사를 진행한다.
특히 산후조리원, 노인요양시설, 실내 어린이놀이시설, 의료기관 등 건강민감계층이 이용하는 4개 시설군에 대한 오염도 검사를 확대해 어린이, 노인, 임산부 등이 안심하고 머무를 수 있도록 실내공기질을 집중 관리한다.
모든 신축 공동주택은 입주 전 입주예정자 입회하에 실내공기질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입주민에게 공고해야 하고 기준초과 시에는 충분한 베이크아웃(Bake-Out)을 통한 저감조치 후 재검사를 받도록 권고하고 있다.
또 시는 건강약자 이용 시설인 25개 자치구 어린이집과 노인요양시설 등에 창문 환기형 미세먼지 저감장치 230여 대를 지원한다.
여장권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건강민감계층 이용 시설이나 신축 공동주택 등 일상생활 밀착시설에 대한 실내공기질의 관리를 강화해 시민의 생활 공간을 더욱 안전하게 개선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미영 기자
odongkim@safetimes.co.kr
관련기사
- 서울시, 9388곳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 사각지대 살핀다
- 서울시, 외국식료품 판매업소 특별단속 … 위법행위 제보 최대 2억원 포상금
- 서울 초미세먼지 농도 최저 … 강수량은 최대
- 서울연구원, 복지재단과 '사회적 고립‧고독사' 막는다
- 서울버스 파업 11시간만에 정상운행
- 갈등없이 택배받자 … 서울시, 건축 시 화물주차장 의무화 추진
- 서울 동작구에 '월세 1만원' 주택 생긴다
- 세월호 참사 10주년 맞아 '서울이 안전한 날' 운영
- "자전거·PM 안전하게 타세요" … 서울시 맞춤교육 나선다
- 서울시, 민간 건축현장에 '감리비 공공예치제도' 도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