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관계자들이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을 측정하고 있다. ⓒ 서울시
▲ 서울시 관계자들이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을 측정하고 있다. ⓒ 서울시

서울시는 다중이용시설, 신축아파트 등에 대한 '실내공기질 점검'을 진행한다고 7일 밝혔다.

시는 최근 증가하는 신축 공동주택의 새집증후군 유발물질 관리를 위해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서울연구원과 협력에 나선다.

4월부터 산후조리원, 노인요양시설 등 다중이용시설 500곳과 100세대 이상 모든 신축 공동주택, 지하철 차량 11개 노선에대해 오염도 검사를 진행한다.

특히 산후조리원, 노인요양시설, 실내 어린이놀이시설, 의료기관 등 건강민감계층이 이용하는 4개 시설군에 대한 오염도 검사를 확대해 어린이, 노인, 임산부 등이 안심하고 머무를 수 있도록 실내공기질을 집중 관리한다.

모든 신축 공동주택은 입주 전 입주예정자 입회하에 실내공기질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입주민에게 공고해야 하고 기준초과 시에는 충분한 베이크아웃(Bake-Out)을 통한 저감조치 후 재검사를 받도록 권고하고 있다.

또 시는 건강약자 이용 시설인 25개 자치구 어린이집과 노인요양시설 등에 창문 환기형 미세먼지 저감장치 230여 대를 지원한다.

여장권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건강민감계층 이용 시설이나 신축 공동주택 등 일상생활 밀착시설에 대한 실내공기질의 관리를 강화해 시민의 생활 공간을 더욱 안전하게 개선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