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올해도 소규모 공동주택의 안전 관리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150세대 미만의 소규모 공동주택 86개 단지 180개 동에 무상 안전점검을 지원한다고 5일 밝혔다.
15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은 공동주택관리법 상 관리주체를 통해 정기적인 안전 점검을 받아야 한다. 하지만 관리주체가 없는 소규모 공동주택의 경우 법적인 관리의무가 없다 보니 안전관리에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시는 사용 승인일로부터 15년 이상 경과하고 국민주택 규모(전용 85㎡) 이하 주택이 50% 이상인 노후 공동주택 86개 단지의 안전점검을 지원한다.
시는 2014년부터 매년 소규모 공동주택 967개 단지에 대한 안전점검 비용을 전액지원해 왔고 3년에 1회 이상 체계적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단지별로 안전에 문제가 없는지 점검하고 있다.
점검은 거주자의 별도 신청 없이 자치구에서 안전점검이 필요한 공동주택을 선정한다. 그 후 전문가들이 체크리스트에 따라 안전점검을 진행한다. 점검 결과는 소유주에게 안내된다.
점검방법은 육안점검과 필요시 정밀관측장비 등 전문 장비를 활용해 건물 균열 여부, 보수상태, 기울기, 콘크리트 강도 등 전반적인 안전 상태에 대한 정밀 점검을 진행한다. 또 도시가스시설, 소방시설, 전기시설 등 공동주택관리법에 의한 시설물도 점검한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2014년부터 법적인 안전점검 관리의무가 없는 150세대 미만 소규모 공동주택에 대한 안전 점검을 지원해 왔다"며 "안전관리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지속적으로 힘쓰겠다"고 말했다.
김미영 기자
odongkim@safetim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