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 크는 주사·약에 대한 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영주 의원(더불어민주당·서울영등포갑)이 식품의약품안전처·국민건강보험공단·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내 의료기관에서 처방되는 키 크는 주사·약에 대한 안전성·유효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김 의원에 따르면 의료기관에서 처방되고 있는 성장호르몬 바이오의약품 24개는 터너증후군 등 성장호르몬이 부족한 환자를 대상으로만 임상시험을 한 것이었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이 없었고 식약처도 소아, 청소년 등 일반인에 효과가 있는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진행한 소아·청소년 대상 키 성장 목적 성장호르몬 치료 연구 결과도 "허가 범위를 초과한 성장호르몬 사용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해 권고하지 않으며 오직 임상연구 상황에서만 적용돼야 한다"며 단순히 키가 작은 일반인에 대한 처방은 권고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국내 대학병원, 일반병원, 성장클리닉 등에선 키 크는 주사·약 등이 일반인을 대상으로 다수 처방되고 있다.

▲ 한양대병원이 처방하고 있는 성장호르몬 바이오의약품이 일반인에 대한 효과·효능이 입증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세이프타임즈
▲ 한양대병원이 처방하고 있는 성장호르몬 바이오의약품이 일반인에 대한 효과·효능이 입증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세이프타임즈

2021년부터 지난달까지 국내 저신장증 관련 환자는 7만8218명으로 집계됐다. 대부분 건강보험 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터너증후군, 뇌하수체기능저하(소아성장호르몬결핍증·성인성장호르몬결핍증), 단신 관련 선천기형증후군(프라더윌리증후군·누난증후군)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다.

이들 가운데 3만2698명(41.8%)이 성장호르몬 바이오의약품(키 크는 주사) 30만7000개를 급여 처방받았다.

같은 기간 전국 5761개 의료기관에 공급된 해당 성장호르몬 의약품은 1066만개였다. 이 가운데 97%(1035만개)가량은 저신장증이나 관련 질병이 없는 일반 소아·청소년들에게 비급여 처방된 것이다.

해당 의약품들이 의료기관에 납품된 최소 단가는 1만2521원부터 최대 135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의료기관에서 처방해주는 주사제가 대부분으로, 처방을 받은 후 집에서 일주일에 6~7회 몸에 직접 주사를 투여하는 방식이다.

▲ 서울아산병원이 처방하고 있는 성장호르몬 바이오의약품이 일반인에 대한 효과·효능이 입증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세이프타임즈
▲ 서울아산병원이 처방하고 있는 성장호르몬 바이오의약품이 일반인에 대한 효과·효능이 입증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세이프타임즈

실제 한림대강동성심병원에서 처방하는 유트로핀에스(LG화학)는 용량에 따라 한 달에 50만~75만원을 내야 처방받을 수 있고 일주일에 6회 투여해야 한다.

한림대강동성심병원과 서울아산병원이 처방하는 지노트로핀(화이자)은 한 달에 80만~85만원을 지불해야 한다.

서울아산병원이 처방하는 그로트로핀2(동아에스티)의 한 달치 가격은 70만원이다.

한양대병원은 그로트로핀2(동아에스티)를 80만원에 처방하고 있다.

김영주 의원은 "시중에서 처방되고 있는 성장 관련 바이오의약품 모두가 식약처 효능·효과가 확인되지 않았지만 마치 키 성장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의료기관들에서 오·남용되고 있었다"며 "일반인에게 임상시험조차 한 적 없는 성장호르몬 의약품이 일반 소아나 청소년들에게 효과가 있다고 광고·처방하고 있는 병원들의 문제가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복지부·식약처는 의약품이 초기 허가 목적과 다르게 오·남용되고 있는 부분에 대해 관리·감독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