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용혜인 의원(기본소득당·비례)이 31일 국회 소통관에서 가습기 살균제 피해 구제를 위한 공청회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용 의원에 따르면 2011년 8월 31일 가습기 살균제 참사가 세상에 알려지고 12년이 지났음에도 피해구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으며 재판도 여전히 진행하고 있다. 잠정적으로 집계하고 있는 전체 피해자는 7800명에 이른다.
용혜인 의원은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은 여전히 고통 속에서 살고 있으며 사망자들의 대다수는 영유아였고 생존자들의 30%는 청소년"이라며 "참사가 발생한 이후 기업은 진실을 은폐하고 책임을 회피하려 했으며 국가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지 못하고 피해자 지원도 신통치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심지어 윤석열 정부는 끔찍한 참사를 경험했음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안전보다 기업을 위한 규제 완화에만 온 힘을 쏟고 있다"며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공청회를 열어 정부와 기업이 참사에 대한 책임을 다하고 피해자와 조정 합의에 적극적으로 임해야한다"고 말했다.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가습기 살균제 사건을 계기로 기업의 사회적·제조물 책임과 같은 부분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논의가 시작됐다고 볼 수 있다"며 "정작 이 사건으로 인해 피해를 받으신 분들은 제대로 아직도 피해 구제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고 연대할 권리조차 누리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들은 큰 것을 바라는 것이 아니라 피해 구제 제도를 정비하는 등의 국회 공청회를 요구하고 있고 우리 국회의원들은 이들을 외면할 수 없을 것"이라며 "공청회가 이뤄져 합리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