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023년도 업무계획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있다. ⓒ 금감원 홈페이지

금융감독원이 금융지주와 은행 이사회·사외이사제도 개편에 나섰다. 윤석열 대통령이 금융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소유 분산 기업의 지배구조 투명성 문제를 제기한 지 1주일여만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은행 지배구조가 공정하고 투명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배구조 현황, 이사회 운영, 경영진 성과보수 체계의 적정성을 점검하겠다"고 7일 밝혔다.

지난해부터 횡령 등 금융사고가 잇달아 터지고 있는데다 우리금융지주 등 최근 금융회사 최고경영자(CEO) 인선이 급박하게 이뤄지는 등 이사회의 투명성과 공정성 측면에서 문제가 드러났다는 게 금감원의 시각이다.

이 원장은 이 같은 문제의 중심에 CEO를 제대로 견제하지 못하는 사외이사가 있다고 보고 "(사외이사가) 경영진과의 친소 관계로 이사회에 장기 잔류하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또 "금융지주가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에 비춰볼 때 (회장 선임 절차가) 블랙박스에 갇혀 이뤄진 것 아니냐"며 금융사 최고경영자(CEO) 인선 과정의 불투명성을 꼬집었다.

지나치게 짧은 기간에 회장 후보자를 추려내며 어떤 기준으로 선정했는지 제대로 설명을 못한다는 것이다.

다음달 4대 금융지주 사외이사 28명(85%)의 임기 만료를 앞두고 대거 물갈이를 위한 신호탄이 될 것으로 해석된다.

금감원은 사외이사가 이사회에 올라온 안건에 찬성표만 던지는 게 아닌 주요 사안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전문성과 독립성을 강화하는 방안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4대 과제로 △금융시스템 안정 △민생금융 강화 △금융산업 혁신 △책임경영 문화 조성 등을 제시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 사외이사 33명 가운데 28명의 임기가 다음달 만료된다.

KB금융은 7명 가운데 6명, 신한금융은 11명 가운데 10명, 우리금융은 7명 가운데 4명, 하나금융은 8명 전원이 다음달 임기가 끝난다.

금융권에선 이들의 연임 대신 새로운 사외이사진이 등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사회 운영 적정성 점검 방안에 대해 "그동안은 형식적 요건을 갖췄는지를 따졌다면 앞으로는 실질적 운영 행태를 살펴볼 것"이라며 "사외이사 전담 지원조직을 두고 있는지, 이슈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대로 제공하는지, 경영 승계 관련 평가가 체계적인지 등이 예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관치 논란도 제기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제도 개편을 넘어 사외이사 인선에 개입하려 한다면 관치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