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이후 정보망 마비로 행정시스템 이용에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특히 결재서류를 수기로 작성하고 국민들이 민원이나 증명서 발급을 위해 주민센터로 직접 방문하는 등 '아날로그 시대'로 돌아간 모습이다.
중앙대책본부는 29일 낮 12시 기준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647개 가운데 62개가 복구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전소된 주요 정보시스템 96개가 대구센터로 이전해 재가동되기까지는 2주간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돼 전체 서비스 정상화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일상에서의 불편함은 바로 체감되고 있다. 29일 한국공항공사 제주공항에 따르면 국정자원 화재가 발생한 다음날인 27일 이용객 7명이 신분확인 불가로 항공편을 이용하지 못했다.
산업통상자원부 등 일부 부처들은 전산망 밖에서 수기로 문서대장을 관리하고 있으며 국토교통부는 토지대장 등 민원서류 8종을 온라인 발급·열람하는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등 4개 시스템이 여전히 불통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노동·산업안전분야 시스템도 먹통인 상태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2개 전산시스템 가운데 노동·산안 분야 감독·사건처리와 내부업무 시스템 등 17개 시스템이 전면 중단됐다.
이에 따라 노동·산안 분야 감독·신고사건 등은 수기로 처리해야 하며 민원인은 방문·팩스로 사건접수와 관련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한 공무원은 "행정시스템 마비로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다"며 "업무에 있어서 많이 답답하고 불편한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김은서 기자
geunseo067@safetim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