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뉴스
▲ 정부가 지난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직접 영향을 받은 96개 시스템을 대구센터로 이전 복구하는 데 4주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발표했다. ⓒ 연합뉴스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손상된 시스템의 복구 소요시간을 전망했다.

정부는 지난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피해를 입은 주요 시스템 96개를 대구센터로 이전해 복구하는 데 4주가량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29일 밝혔다.

정부는 우선 화재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은 1∼6전산실의 시스템부터 순차적으로 재가동하고 있으며, 5층 전산실은 분진 청소를 마친 뒤 재가동할 계획이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이날 "전문업체가 복구 작업에 투입됐다"며 "작업 기간은 1~2주 정도 걸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보자원 준비에 2주, 시스템 구축에 2주가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며 "대구센터 입주 기업의 협조를 받아 일정을 최대한 앞당기겠다"고 말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정오 기준 오류가 발생한 647개 시스템 가운데 62개가 복구돼 정상 가동 중이다. 이 가운데 1등급 업무 16개(44%)가 복구됐다.

우체국의 우편·금융 서비스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이용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돼 우선 복구된 것으로 알려졌다. 생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24도 정상 운영된다.

정부는 복구가 완료된 시스템을 포털사이트를 통해 실시간으로 안내할 예정이다.

또 이날 정부는 전소 피해를 입은 주요 시스템 96개의 목록도 공개했다.

공개된 목록에는 △국민신문고(국민권익위원회) △국가법령정보센터(법제처) △대테러센터 홈페이지(국무조정실) △범정부데이터분석시스템(행안부) △정책브리핑(문체부) 등 1등급 시스템이 기재됐다.

정부는 복구 지연으로 인한 행정 공백을 줄이기 위해 9월 재산세 납부 시한과 각종 서류 제출 기한을 연장했으며, 오프라인 서류 발급 시 발생하는 수수료도 면제한다.

김 차관은 "장애로 인해 국민께 불편을 끼쳐 송구하다"며 "복구를 조속히 마무리하고 시스템 안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