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당시 잼버리에 참여한 한 외국인 참가자가 내부 상황을 알리겠다며 행사장에서 창궐한 벌레 떼에 물린 참가자들의 다리를 찍어보냈다. ⓒ 연합뉴스

국제적 망신을 초래한 '2023 잼버리' 사태는 허위 보고와 준비 등 '총제적 부실'이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감사 결과가 나왔다.

11일 감사원에 따르면 잼버리는 조직위·여성가족부·전라북도·농림축산식품부 등이 협력했지만 총괄 담당이 전문성이 부족한 여가부 퇴직 공무원이며, 전체 직원 가운데 국제행사 경험자가 6.3%에 불과했다.

특히 조직위는 화장실·샤워장 등 시설이 미설치된 상황에도 여가부에 '설치완료'라는 허위 보고를 했다. 여가부는 현장점검 없이 이를 국무회의에 그대로 전달했다.

현장점검을 실행하지 않은 행태는 그대로 나타났다. 지원단의 핵심 인력인 사무관 4명을 모두 외부 인력으로 채우고, 야영장 내부를 방문하지 않거나 보소서 미작성도 여러 차례 확인됐다. 일부 점검은 계획조차 없이 진행됐다.

특히 여가부는 갑질 의혹으로 불복 절차가 진행 중인 직원을 팀장으로 배치한 문제가 있었다. 전북은 개최지 검토와 계획 수립에 소홀했고, 농림부는 행사 부지 매립에 농지관리기금을 용도 외로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감사원은 위법·부당 행위로 연루된 당시 공무원과 민간업자 15명에 징계를 요구하고 수사요청, 인사자료 통보 등 조를 내렸다.

감사원 관계자는 "주관 기관들의 역량 부족과 행사 준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미흡, 전 과정에 걸친 부실한 업무 처리가 대회 실패의 주된 원인"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