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기반 위험성 평가 시스템 웹페이지 ⓒ 부산항만공사
 ▲ AI기반 위험성 평가 시스템 웹페이지 ⓒ 부산항만공사

부산항만공사(BPA)는 현장 위험성평가 계획·시행에 어려움을 겪는 소규모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AI기반 위험성평가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12일 밝혔다.

시스템은 사고예측모델을 통해 현장 위험요인을 미리 파악하고 저감할 수 있는 대책을 제시해 안전관리자들이 내실있는 위험성평가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인터넷과 모바일 앱을 활용해 작업전 안전점검 일지 작성과 교육 기록 등 행정을 간소화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을 통해 안전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소규모 건설사업장은 안전관리 인력이 적어 위험성 평가 등 자발적 안전관리체계 확립에 어려움을 겪는 일이 많다.

지난해 고용노동부가 공개한 사업장 위험성 평가인식조사에서 시행 현장 가운데 핵심 절차를 준수하는 사업장 비율은 57.7%에 그쳤다.

이상권 건설본부장은 "소규모 건설현장의 내실있는 위험성평가 시행과 자발적인 안전관리 체계수립을 통해 부산항의 중대재해와 안전사고 예방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