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BPA)는 현장 위험성평가 계획·시행에 어려움을 겪는 소규모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AI기반 위험성평가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12일 밝혔다.
시스템은 사고예측모델을 통해 현장 위험요인을 미리 파악하고 저감할 수 있는 대책을 제시해 안전관리자들이 내실있는 위험성평가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인터넷과 모바일 앱을 활용해 작업전 안전점검 일지 작성과 교육 기록 등 행정을 간소화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을 통해 안전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소규모 건설사업장은 안전관리 인력이 적어 위험성 평가 등 자발적 안전관리체계 확립에 어려움을 겪는 일이 많다.
지난해 고용노동부가 공개한 사업장 위험성 평가인식조사에서 시행 현장 가운데 핵심 절차를 준수하는 사업장 비율은 57.7%에 그쳤다.
이상권 건설본부장은 "소규모 건설현장의 내실있는 위험성평가 시행과 자발적인 안전관리 체계수립을 통해 부산항의 중대재해와 안전사고 예방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은서 기자
geunseo067@safetimes.co.kr
관련기사
- BPA 한국형 '스마트항만' 시대 연다
- 강준석 BPA 사장 "동절기 재해 예방 빈틈없게"
- BPA 아동·어르신을 위한 화분심기 '봉사활동'
- 강준석 BPA사장 자성대부두 이전현장 점검
- BPA-UN ESCAP "해양부문 탈탄소화 상호 협력"
- 부산항만공사 기후산업박람회서 '탄소중립' 정책 소개
- BPA, 일본 지방항만과 손잡고 환적화물 유치
- BPA, 안전한국훈련 3년 연속 '최고 등급'
- BPA 로테르담 물류센터 '한국 수출' 확대 앞장
- 50인 미만 사업장 '공동안전관리자' 지원 개시
- BPA, 신항 배후단지 입주업체 안전협의회
- BPA 스마트항만으로 미래 물류 연다
- 스마트 항만물류 성과 공유의 장 열린다
- BPA 건설현장 하도급 미지급 특별점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