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티몬·위메프 판매대금 정산 지연 사태가 이어진 26일 피해자들이 서울 강남구 티몬 신사옥에서 환불을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 연합뉴스
▲ 26일 티몬·위메프 판매대금 정산 지연 사태가 이어지면서 서울 강남 티몬 신사옥에 피해자들이 모여 환불을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 연합뉴스

금융감독원 파악 결과 티몬·위메프의 미정산액은 1600~1700억원 규모인 것으로 파악됐다. 티몬·위메프 등 큐텐 자회사들에 대한 불안이 이커머스 전체로 확산하고 있다.

25일 유통업계 등에 따르면 온라인 플랫폼 내 일부 상품 판매자들은 최근 인터파크커머스와 AK몰 등 정상 영업 중인 큐텐 자회사에서도 상품 판매를 중단했다.

티몬·위메프 사태를 큐텐 전 계열사에서 지원한다는 소식에 언제 사태가 번질지 모른다는 불안 심리가 작동한 것으로 보인다.

금융감독원이 티몬·위메프의 미정산액을 1600∼1700억원 규모로 조사했지만, 6월과 7월 대금은 아직 정산 시점이 되지 않은 것을 고려하면 피해 규모는 훨씬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미정산액이 늘어남에 따라 티몬과 위메프에 입점해있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들이 연쇄 도산하게 되면 은행 등 금융권도 대출금을 회수하지 못해 전체적인 피해 규모가 상당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정부는 티몬·위메프와 같은 정산 지연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해 정산을 위해 유입된 자금은 정산에만 사용하도록 분리 관리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