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병관리청이 인플루엔자 유행 대비 계획 전면 개정 초안을 발표했다. ⓒ 질병청
▲ 질병관리청이 인플루엔자 유행 대비 계획 전면 개정 초안을 발표했다. ⓒ 질병청

질병관리청은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 전면 개정 초안을 마련했다고 20일 밝혔다.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은 신종·변종에 의한 대유행에 대비한 계획으로 2018년 개정 이후 6년 만의 개정이 이뤄졌다.

이번 개정안은 그간 인플루엔자 대응에 대한 평가와 코로나19 대유행의 교훈을 토대로 유행 규모를 최소화하고 중증화율과 사망률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현재 병독성이 높은 조류인플루엔자가 가금류, 철새 등 조류뿐 아니라 고양이, 돼지, 소 등 다양한 포유동물에서 발생하고 있다.

동물에서 사람으로 감염돼 사망한 사례들이 계속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 미국에서 젖소 간 조류인플루엔자 감염이 전파된 사례도 있어 사람 간 전파가 이뤄질 가능성도 생겼다.

세계보건기구는 다음 팬데믹이 신종인플루엔자가 될 가능성이 있다며 미리 준비할 것을 촉구했으며 질병청은 이탈리아에 이어 두 번째로 인플루엔자 대비·대응 계획 개정안을 마련했다.

먼저 신종인플루엔자가 의료체계 내에서 관리 가능한 수준을 유지하고 중증 환자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번 개정안엔 △조기 감시를 통해 유행 발생 전 위험신호를 탐지할 대응 전략 △백신 개발을 100일·200일로 단축하기 위한 전략 △원헬스 전략을 통한 인수공통감염의 공동감시·경보 등이 새로 추가됐다.

대응 분야는 유행 초기, 확산기, 회복기로 구분해 시기별 주요 방역 전략을 담았다. 사회 필수 기능을 유지하고 봉쇄로 인한 사회·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 조치를 비용 효과에 근거해 적용했다.

질병청은 이날 전문가 심포지엄을 통해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 개정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으며 관련 의견을 수렴해 조속한 시일 내에 최종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언제라도 발생할 수 있는 신종 인플루엔자에 대비해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며 "계획을 통해 국민의 건강을 지키고 사회·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