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료개혁특별위원회는 전달체계·지역의료 전문위원에서 검토를 마친 우선 개혁과제에 대해서는 1차 개혁방안을 발표하고 전문의 중심병원 전환 지원사업은 신속히 구체화해 올해 내 착수할 수 있도록 한다. ⓒ 세이프타임즈 DB
▲ 의료개혁특별위원회는 전달체계·지역의료 전문위원에서 검토를 마친 우선 개혁과제에 대해서는 1차 개혁방안을 발표하고 전문의 중심병원 전환 지원사업은 신속히 구체화해 올해 내 착수할 수 있도록 한다. ⓒ 세이프타임즈 DB

정부는 28일 '전달체계·지역의료 전문위원회' 제2차 회의를 개최했다.

전달체계·지역의료 전문위원회는 의료공급·이용체계 정상화, 기능·성과 중심 의료체계 개편 등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서 선정한 전달체계·지역의료 관련 개혁과제를 심층 검토하기 위해 의료개혁특위 산하에 구성된 전문위원회다.

개혁과제를 본격적으로 구체화하기 위해 △큰 틀의 의료전달체계 개편 방향 △전문의 중심병원 전환 지원사업 추진방안 △상급종합병원 관점에서 전문의 중심병원 전환 모델 등을 안건으로 선정해 논의했다.

현재의 비상진료체계를 의료정상화로 연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시급한 과제이므로 상급종합병원이 진료량을 늘리기보다 중증진료에 집중하고, 숙련된 인력에 투자를 강화하며 전공의 근로 의존도를 낮추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특히 지금의 비상진료체계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의 중심병원 전환 등 상급종합병원 운영 혁신방안을 마련하고 단계적으로 의료공급·이용체계를 안착시키는 로드맵을 마련하기로 했다.

전달체계·지역의료 전문위원회는 앞르로 상급종합병원의 전문의 중심병원 전환을 초기 논의 의제로 설정해 집중적으로 검토·논의한다.

노연홍 의료개혁특위 위원장은 "의료전달체계 왜곡은 수도권 대형병원 환자 집중화와 이로 인한 의료인력 업무 가중, 지역의료 기반 약화 등을 가져온 원인으로 해결이 시급한 과제"라고 말했다.

이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개혁을 위해 전문위원회에서 검토를 마친 우선 개혁과제에 대해서는 조속한 시일 내 1차 개혁방안을 발표하겠다"며 "전문의 중심병원 전환 지원사업은 신속히 구체화해 올해 내 착수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