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8일 '전달체계·지역의료 전문위원회' 제2차 회의를 개최했다.
전달체계·지역의료 전문위원회는 의료공급·이용체계 정상화, 기능·성과 중심 의료체계 개편 등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서 선정한 전달체계·지역의료 관련 개혁과제를 심층 검토하기 위해 의료개혁특위 산하에 구성된 전문위원회다.
개혁과제를 본격적으로 구체화하기 위해 △큰 틀의 의료전달체계 개편 방향 △전문의 중심병원 전환 지원사업 추진방안 △상급종합병원 관점에서 전문의 중심병원 전환 모델 등을 안건으로 선정해 논의했다.
현재의 비상진료체계를 의료정상화로 연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시급한 과제이므로 상급종합병원이 진료량을 늘리기보다 중증진료에 집중하고, 숙련된 인력에 투자를 강화하며 전공의 근로 의존도를 낮추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특히 지금의 비상진료체계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의 중심병원 전환 등 상급종합병원 운영 혁신방안을 마련하고 단계적으로 의료공급·이용체계를 안착시키는 로드맵을 마련하기로 했다.
전달체계·지역의료 전문위원회는 앞르로 상급종합병원의 전문의 중심병원 전환을 초기 논의 의제로 설정해 집중적으로 검토·논의한다.
노연홍 의료개혁특위 위원장은 "의료전달체계 왜곡은 수도권 대형병원 환자 집중화와 이로 인한 의료인력 업무 가중, 지역의료 기반 약화 등을 가져온 원인으로 해결이 시급한 과제"라고 말했다.
이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개혁을 위해 전문위원회에서 검토를 마친 우선 개혁과제에 대해서는 조속한 시일 내 1차 개혁방안을 발표하겠다"며 "전문의 중심병원 전환 지원사업은 신속히 구체화해 올해 내 착수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보건복지부, 가명 의료데이터 활용 현장 설명회 개최
- 복지부, '중증·필수의료 보상 강화' 등 의료 개혁과제 적극 추진
- "병원 갈 때 신분증 꼭 챙기세요" … 20일부터 본인 확인제도 강화
- PA간호사 양성화 '임박' … PA임상병리사도 시급하다
- 보건복지부, 만성질환 검사 없이 약 '재처방'
- 복지부, 요양병원 간병비 월 최대 77만원 지원
- 정부, 의료분쟁 조정제도 개선 논의 본격화
- 15개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암 임상데이터' 개방 … 연구활성화 기대
- 복지부, 장기요양기관 건전성 제고 위한 '기획 현지조사' 실시
- 복지부, K-바이오·백신 2호 펀드도 결성 완료 … 연내 3·4·5호 조성 박차
- 복지부, 필수의료 중점 투자 원칙 본격 검토 … "수가 구조 개편"
- 경기도 '중증환자 전담구급차' 10월부터 시범 운영
- 의료개혁특위 중증·필수의료 공정보상 방안 논의
- 중증 질환 중심병원 '세브란스' 등 8곳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