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무, 알리익스프레스 등 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어린이 신발 장식품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됐다.
서울시는 해외 온라인 플랫폼 소비자 안전 확보 대책 발표 후 해외 직구 상품에 대한 첫 안전성 검사 결과 기준치의 348배에 달하는 유해물질이 검출됐다고 25일 밝혔다.
첫 검사 대상은 중국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어린이용 제품 22종으로 검사결과 신발 장식품 16개 가운데 7개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 대비 최대 348배 초과 검출됐다.
일부 제품에서는 납 함유량 또한 기준치 대비 최대 33배 초과 검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엔 국제암연구소가 지정한 인체발암가능물질로 성조숙증과 불임 등에 영향을 미치는 생식 독성이 있다. 인체에 기준치 이상으로 납이 노출되면 생식기능의 약화와 암 위험도가 증가할 수 있다.
어린이용 차량용 햇빛가리개에서도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 대비 324배 초과 검출됐고, 제품 일부 부분에서 납 함유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며 아이들의 안전에 위협을 가할 수 있는 수치를 보였다.
서울시 관계자는 "앞으로도 시기별 수요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품목을 월별로 선정하고 3개 전문 시험기관과 협의를 거쳐 실제 검사 품목을 확정할 계획"이라며 "해외 직구 플랫폼도 중국 외 국내 이용자 수가 많은 다양한 해외 플랫폼으로 검사 대상을 확대해 서울시민의 안전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손예진 기자
syejin0902@safetimes.co.kr
관련기사
- 싼 게 비지떡 … 알리·테무 장신구 안전기준치 700배 초과
- 중국 '알테쉬' 주의보 … 발암물질 범벅에 안전사고 위험까지
- 알리·테무 등 해외플랫폼 '국내대리인 지정' 의무화
- 싼 게 비지떡? … 테무 폴로셔츠서 환경호르몬 '기준치 40배' 검출
- 중국 쇼핑몰 '알리익스프레스·테무' 한국법 무시한 불법 광고영업
- 공정위, 알리-테무와 위해제품 '원천차단' 위한 대책 마련
- KC인증 없는 해외직구 아동·생활용품 구매 '원천 차단'
- '알리' 직구 시계·머리띠에서 또 기준치 270배 환경호르몬 검출
- "1급 발암물질 라돈 차단" 소비자 기만한 페인트 업체 무더기 제재
- 직구 규제 반발에 사흘만에 '철회'한 정부
- 알리·쉬인 '어린이용품' 기준치 278배 중금속 검출
- 학교·사무실 3D 프린터 유해물질 평가는 '이렇게'
- 체중감량이 아니라 '구토유발' … 해외직구 식품 유해성분만 잔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