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알리·테무·쉬인' 중국 플랫폼 대상 상시 안전성 검사

▲ 서울시의 해외직구 제품 안전성 조사결과. ⓒ 서울시
▲ 서울시의 해외직구 제품 안전성 조사결과. ⓒ 서울시

중국 직구 사이트의 온라인 시장 점유율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판매제품에서 발암물질이 다량 검출되는 등 품질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어린이들이 이용하는 제품에서 국내 기준치의 56배에 이르는 발암물질이 검출됐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8일 해외직구 상품 가운데 특히 '알테쉬'(알리·테무·쉬인)로 불리는 중국 온라인 사이트를 중심으로 상시 안전성 검사에 나서기로 하는 등 '해외 온라인 플랫폼 소비자 안전확보 대책'을 발표했다.

서울시가 지난달 알리에서 판매율 상위에 오른 어린이용품과 생활용품 31개의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8개 제품에서 허용기준치를 크게 넘는 유해물질이 검출됐다.

어린이용 가죽가방에서는 플리스틱을 가공할 때 사용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4종이 검출됐는데, 총합은 기준치의 55.6배에 달했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불임유발 등 생식 독성이 있다.

어린이 물놀이 튜브에서도 기준치의 33배가 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검출됐다. 여기에 두께도 국내 기준(0.25mm)보다 얇아(0.19mm) 위험도가 높았다.

유아용 치발기는 디자인과 형태가 기도를 막을 가능성이 높았고, 쉽게 손상돼 질식 위험도 있었다. 보행기는 제품 틈에 베이거나 낄 가능성과 낙상 위험이 있었다.

서울시는 이번 검사 결과를 토대로 해외 플랫폼 판매상품의 위해성을 집중 조사하고 소비자 보호대책을 중점 추진한다.

가장 먼저 중국 '알테쉬'를 중심으로 상시안전성 검사체계를 가동하고, 이 달부터 매주 검사 결과를 공개해 피해를 예방한다.

피해 상담과 구제 방안을 전담요원이 빠르게 안내하고 필요시 한국 소비자원 등 중앙부처와 공조해 피해를 최소화한다.

지난해 국내 해외직구액은 6조8000억원으로 이 가운데 48%를 중국 업체가 차지하고 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