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동제약이 신약 개발과 관련한 연구비를 늘려야 한다는 소비자주권시민회의의 지적이 제기됐다. ⓒ 광동제약
▲ 광동제약이 신약 개발과 관련한 연구비를 늘려야 한다는 소비자주권시민회의의 지적이 제기됐다. ⓒ 광동제약

지난해 최근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부당 내부거래와 관련해 조사를 받았던 광동제약에 대해 연구 개발 투자를 늘리는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소비자주권시민회의의 지적이 나왔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최근 5년간 광동제약의 사업보고서 내용을 분석해 그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최근 5년 동안 광동제약의 평균 매출실적 비중을 살펴보면 전체 매출 가운데 △삼다수가 31.9%로 가장 비중이 컸고 △기타제품 23.9% △비타500·옥수수수염차·헛개차 등 유통영업이 22.9%, △백신류·비오엔주·항암제류·베니톨 등 병원영업 10.7% △쌍화탕류·청심원류·비타500 등 약국영업이 10.6%를 차지했다.

매출 증감률도 △삼다수가 49.0%로 매출 증가율이 가장 컸고 △약국영업 21.3% △기타제품 17.4% △유통영업이 7% 증가했다. 하지만 병원영업은 9.2% 감소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 관계자는 "제약회사임에도 불구하고 약제류보다는 삼다수・비타500 등 음료류가 전체 매출의 65.4%를 차지했다"고 비판했다.

매출 부문을 제약영업(약국·병원영업)과 비제약영업(유통·생수영업)으로 나눠 분석하면 최근 5년 동안 제약영업은 6.9% 증가했지만 비제약영업은 29.2% 증가해 비제약영업이 제약영업보다 평균 2.6배 높았다.

판매관리비 세부항목 가운데 지급수수료는 일반적으로 제약회사들이 자신들의 의약품을 병원과 약국에 판매를 대행하는 업체에게 지급하는 비용이다.

광동제약의 지급수수료는 △2018년 456억원 △2019년 527억원 △2020년 581억원 △2021년 674억원 △2022년 652억원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했고 2018년 대비 2022년 수수료는 43% 증가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 관계자는 "지급수수료의 급증은 광동제약의 불법 리베이트의 가능성에 의구심을 갖게 한다"고 말했다.

판매비에서 급여, 보험료, 임차료, 감가상각비 등 회사 관리 항목을 제외하고 리베이트 관련 의혹이 있는 항목은 △지급수수료 △광고비 △여비교통비 △운반비 △판매촉진비 △문헌제작비 △외주용역비 △접대비 등이다.

광동제약의 이들 항목 비용은 △2018년 1130억원 △2019년 1195억원 △2020년 1170억원 △2021년 1283억원 △2022년 1310억원으로 상승해 2018년 대비 2022년 금액은 15.9% 증가했다.

제약회사에서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 연구개발비도 비중이 낮았다. 광동제약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2018년 0.4% △2019년 0.4% △2020년 0.5% △2021년 0.6% △2022년 0.7%로 5년 평균 0.5%였다.

연구개발비와 판매관리비 배율의 경우 △2018년 2.0배 △2019년 2.5배 △2020년 2.8배 △2021년 3.6배 △2022년 4.0배로 5년 평균 3.0배에 이르고 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 관계자는 "광동제약이 신약개발 등 제약회사로서의 성장보다는 음료판매 등을 통한 기업경영에 더 치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의약개발 등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제약회사로서 명확한 기업비전을 확립하고 연구개발비 투자비중의 확대 등의 체질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한 광동제약의 입장을 듣기 위해 세이프타임즈가 통화를 시도했지만 답변을 들을 수 없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