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C에서 산업재해와 위생 사고가 반복되고 있다. ⓒ SPC
▲ SPC에서 산업재해와 위생 사고가 반복되고 있다. ⓒ SPC

잇따른 산업재해로 몸살을 앓고 있는 SPC그룹의 식품공장에서 다수의 식품위생법 위반이 적발됐지만 솜방망이 처벌에 그쳐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1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영주 의원(더불어민주당·서울영등포갑)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 1월부터 지난 6월까지 SPC그룹 식품공장에서 79건의 식품위생법 위반이 적발됐다.

같은 기간 동안 이물질 혼입 등으로 내려진 행정처분은 49건이었다.

식품위생법 위반 내용은 △체모·비닐·플라스틱·실 등의 이물질 혼입 60건 △청결불량 7건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기준 미달 6건 △표시의무 위반 관련 5건 등이었다.

SPC삼립의 시흥공장에서 가장 많은 위반 사례가 적발됐다. 삼립호빵, 통밀식빵 등의 품목에서 이물질이 수차례 혼입되는 등 모두 60건이 적발됐다.

지난해 10월 노동자 끼임 사고가 발생한 SPL 평택공장에서도 지난 3년 연속 이물질 혼입이 발생했다.

지난 8월 노동자가 사망했던 샤니 성남공장에서도 5건의 식품위생법 위반 사례가 적발됐다.

이에 대한 식약처 제재는 단순 시정명령이 116건, 과태료 부과는 10건으로 모두 638만원이었다.

지난 9월 파리가 발견된 파리바게뜨의 빵을 생산한 SPC삼립 시흥공장도 단순 시정명령 조치만 내려질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 던킨도너츠 기름 오염으로 논란이 됐던 비알코리아 안양공장도 과태료 80만원 처분에 그쳤다. 2018년에도 해당 공장은 위생 문제로 42만원의 과태료 처분을 받았다.

김영주 의원은 "SPC그룹은 산재사고뿐만 아니라 식품위생 사고까지 다수 발생했다"며 "법을 계속 위반해도 솜방망이 처벌에 그치기 때문에 개선이 이뤄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식약처에 재발 방지를 위한 가중처벌 수립을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키워드

#김영주 #SPC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