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노원 탄소중립 한마당 행사 참여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서울 노원구
▲ 2023 노원 탄소중립 한마당 행사 참여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서울 노원구

서울 노원구는 '탄소중립도시 노원'을 향해 본격적으로 나선다.

구는 향후 방향과 체계적인 진행을 위해 '2050 탄소중립도시 추진계획'을 수립했다고 9일 밝혔다.

추진계획의 핵심 전략은 '노원 탄소중립 2050 구민회의'를 중심으로 하는 구민참여 사업과 '탄소중립형 재개발·재건축 추진' 등 지역 특화 감축 사업이다.

탄소중립 진행 주체인 구민의 역할을 강화하고 자발적 감축 효과를 확대하기 위해 탄소중립 리더 100여명으로 구성된 구민회의를 구성한다. 

구민회의에서는 시민사회단체, 종교·교육 기관, 지역상공인단체, 주민자치 기구 등 다양한 주체들을 모아 구민 리더십을 발굴하고 능동적인 실천운동을 전개한다.

구는 30년 이상 경과된 아파트가 올해로 55개 단지, 7만4000여 세대로 서울시 자치구 중 가장 많다.

재개발·재건축 수요가 많은 만큼 선도적으로 탄소중립형 재건축 추진 모델을 제시하고 제로에너지건물(ZEB) 인증 설계와 컨설팅 지원 등 탄소중립형 주거단지를 조성한다.

▲ 서울 노원구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관계자들이  탄소중립도시와 녹색성장 추진 등을 위해 회의를 하고 있다. ⓒ 노원구
▲ 서울 노원구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관계자들이 탄소중립도시와 녹색성장 추진 등을 위해 회의를 하고 있다. ⓒ 노원구

노원구 전체 건물 에너지 소비량의 13.8%를 차지하는 에너지 다소비건물 10개 동에 대한 RE100 캠페인과 에너지 효율 개선사업, 공동주택의 노원형 태양광발전소 보급 확대도 눈에 띈다.

이는 노원구 온실가스의 68%가 주거 등 건물 분야에서 배출되고 있는 점을 고려해 건물분야의 에너지 전환과 효율 개선에 초점을 맞췄다.

이외에도 주목할 만한 지역 특화사업에는 생활경제-문화-청년 일자리를 연계한 전기차 선도도시 조성, 서울시 노원자원회수시설의 탄소중립형 현대화 추진, 탄소흡수원 확대를 위한 생활권 도시숲 확보 등이 있다.

구는 지난 8일 출범한 '노원구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에서 이 추진계획을 심의·의결하고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40% 감축을 목표로 2050년 탄소중립을 향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오승록 노원구청장은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이뤄내기 위한 체계적인 진행과정은 도시형 탄소중립 정책의 선도적인 모델이 될 것"이라며 "구민과 노원의 특색에 맞는 정책을 발굴·추진해 기후위기에 적극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