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오세훈표 서울형어린이집'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투명성과 공공성은 높인다.
7일 시에 따르면 서울형어린이집은 민간 어린이집의 공공성을 국공립 수준으로 높여 보육서비스의 품질을 담보하는 서울시 대표 공보육 브랜드로 오세훈 서울시장이 공보육 강화를 위해 2009년 도입했다.
일정한 평가기준을 충족하는 민간·가정 어린이집을 매년 지정해 시가 인건비와 운영비를 지원해 양질의 교사 채용을 유도하고 회계의 투명성을 높여 보육서비스의 질을 제고하는 제도다.
서울형어린이집 공인 여부를 결정하는 평가지표를 어린이집의 공공성을 높이기 위한 '통합지원' 중심으로 대대적으로 개선하고 보육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컨설팅과 교육을 강화한다.
시는 지난달 말 기준 470곳이 서울형어린이집으로 운영하고 있고 올해 600곳, 2025년까지 800곳으로 확대한다.
신규 공인의 경우 정원충족률을 낮춰 어린이집의 참여 문턱을 낮추고 3년마다 도래하는 기존 서울형어린이집 재평가시 '의무 컨설팅 제도'를 새롭게 도입해 회계 관리에 도움을 주고 운영의 투명성을 높인다.
보육하기 좋은 어린이집 환경을 만들고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내용도 평가지표에 담겼다.
급식관리지원센터의 점검결과를 평가지표에 연계해 급식 관리의 전문성을 높이고 교사의 권익 보호와 보수·성과 연계를 위해 얼마나 노력하고 있는지에 대한 시범지표도 신설했다.
장기적으로 민간·가정 어린이집의 공공성을 높여 서울형어린이집으로 공인을 받을 수 있도록 평가 전에는 소규모 집단 컨설팅을 평가 후에는 1대1 개별 컨설팅을 진행한다.
서울형어린이집의 직무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 다음달부터 원장들을 대상으로 원장리더십, 인사·조직관리, 재정관리, 시설관리, 보육과정 운영 전문성 등의 교육을 진행한다.
어린이집 운영기준 중심의 교육뿐 아니라 보육과정과 아이와 상호작용 분야 등 현장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다양한 주제로 교육한다.
개편된 절차에 따라 6월부터 신규 어린이집 대상 현장평가와 재평가 대상 어린이집의 의무컨설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서울형어린이집만의 평가-컨설팅-교육의 통합지원체계를 갖춤으로써 공공성을 담보하면서도 급변하는 보육 현장과 동행해 공보육 대표 브랜드로서 위상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저출생으로 인한 원아 감소로 보육 현장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시기에 서울형어린이집의 평가지표를 대대적으로 개편해 민간·가정 어린이집의 참여 문턱은 낮추고 운영의 투명성과 공공성은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오세훈 서울시장, 충북도와 손잡고 지역교류 강화한다
- 서울시 "육아휴직·출산휴가 눈치보지 마세요"
- 오세훈 서울시장 "경계경보 혼선 죄송 … 오발령은 아냐"
- 오세훈 시장, 100세 이상 어르신 봉양 '효자·효부·효손' 표창
- 오세훈 시장 "서울, 아시아 디지털 금융허브로 만들겠다"
- 환경상 시상식 참석 오세훈 시장 "제로 웨이스트 정착 노력"
- '호국영웅 위로연 참석' 오세훈 서울시장 "헌신에 존경 감사"
- 오세훈 시장, 서울 25개 구청장들과 건전재정 공동선언
- "벌금 내는 게 더 이득" 무신사 어린이집 설치 백지화
- 내년 서울시 예산 '48조' … 저출생·건강 집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