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직제에 없는 고위직 자리 46개를 만들어 국장·팀장급 등 '유사직위'를 과다하게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근무 태도 관리를 부실하게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5일 감사원이 공개한 금감원 정기 감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6월 기준 금감원 직제상 국장급 직원은 80명, 팀장급 직원은 288명이다.
하지만 금감원은 이와 별도로 46명을 추가로 국장·팀장급으로 발령한 뒤 이 가운데 20명을 지방자치단체에 파견했다.
이들에 대한 근태 관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상당수는 출·퇴근도 제때 안 하며 별다른 업무도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감사원이 2019년부터 지난해 6월까지 금감원이 지자체에 파견한 86명의 업무 실적을 조사한 결과 이들이 3년 6개월간 만들어낸 보고서는 모두 41건으로 2명당 1건꼴에도 못 미쳤다.
이마저도 동향 보고 등이어서 별 도움이 안 되는 자료였다고 감사원은 지적했다. 특히 강원지사의 금융 정책을 보좌한다는 명목으로 보좌관(2급)에 파견된 직원은 지난해 김진태 지사의 채무 불이행 발표로 악화한 '레고랜드 사태' 당시 관련 사실도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다.
또 2021년 경기도에 파견됐던 한 직원은 1년간 11일을 결근한 데다 확인된 출근일 가운데서도 반 이상은 지각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각일이 출근일 전체의 72.7%를 차지했고 일찍 퇴근한 날은 93.8%를 차지했다.
이밖에 금감원은 퇴직자들에게 퇴직금을 이중 지급하고 채용비리·금품수수 등 범죄를 저질러 면직됐음에도 해고예고수당을 지급했다. 2015년부터 이 같이 과다 지출된 인건비는 18억원이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감사원 관계자는 "금감원에 유사 직위는 폐지하고 복무 불량이 확인된 직원 5명에 대해 징계 등의 인사 조치를 하라고 통보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