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산악·해안 등에서 긴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위치 신고와 구조·구급 활동이 가능하도록 스마트폰을 활용한 '나의 위치 국가지점번호' 조회 서비스를 진행한다.
27일 행안부에 따르면 국가지점번호는 전 국토를 가로, 세로 10m 간격으로 구획한 지점마다 부여한 위치 표시 번호다.
도로 위에는 건물주소, 사물주소 등으로 위치표현을 할 수 있지만 도로가 없는 산악·해안가 등에선 국가지점번호가 위치 표현의 수단이 된다.
국가지점번호는 등산로와 해안가 등에서 긴급상황 발생시 신속한 위치 안내와 인명구조 등을 위해 구조·구급 기관과 공동으로 활용하고 있는 주소정보다.
지금까지는 국가지점번호판이 설치된 위치만 공개돼 긴급상황 발생시 정확한 위치 신고와 그에 따른 출동이 어려웠다.
앞으로는 주소정보 홈페이지에서 현 위치의 국가지점번호 확인이 가능해짐에 따라 정확한 위치 신고를 할 수 있게 된다.
신고받은 기관(소방·경찰)에선 신고자의 위치 확인과 출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국민 안전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행안부는 2세대 이동통신(2G) 사용자, 정보기술(IT)에 익숙하지 않은 국민을 위해 소방청, 산림청, 지방자치단체 등과 협업해 국가지점번호판 설치도 지속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최훈 행안부 지방자치균형발전실장은 "다양한 주소정보는 핵심적인 국가 기반시설(인프라)"이라며 "국민이 한층 더 편리하고 안전해지기 위한 유용하고 다양한 주소정보 마련을 위해 노력하고 민간과의 협력도 확대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오승은 기자
celine031222@safetimes.co.kr
관련기사
- 행안부, ICT 활용해 재난 예방 … "인명피해 줄이겠다"
- 행안부, 시군구 부단체장 등 재난안전 전문교육 … 대응역량 강화
- 행안부, 지진·감염병 재난데이터 한 곳에서 개방
- 행안부, 재난 대응기관 '상설 협의체' 구성 … 초동 대응 역량 강화
- 행안부, 가뭄·가축 전염병 예방에 특별교부세 155억원 지원
- 소방청, 지역 구분없이 '가까운' 소방헬기 출동한다
- 행안부, 재난안전통신망 활용 '산불 대응' 합동훈련
- 행안부 '민간건축물 내진보강 활성화 TF' 출범
- 소방청 '소방안전 빅데이터 플랫폼' 문연다
- 소방청 '다문화가족 119안전캠프' 참가자 모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