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지난해 발생한 횡령 사건의 손실 충당을 위해 임직원을 대상으로 강제 모금을 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 건보공단
▲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지난해 발생한 횡령 사건의 손실 충당을 위해 임직원을 대상으로 강제 모금을 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 건보공단

지난해 46억원의 횡령 사건이 발생한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임직원을 대상으로 강제로 3억원 이상의 성금을 모아 논란이 되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건보공단은 지난해 12월부터 지난달 말까지 사내 게시판을 통해 875명으로부터 3억4399만원을 모았다.

사내 게시판에 올라온 '횡령 손실금 보전을 위한 성금 모금 안내'에서 건보공단은 "횡령 사고와 관련해 국민의 소중한 보험료를 관리하는 보험자로서 국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회공헌 특별기금을 조성하려 한다"고 밝혔다.

모금 참여 대상은 임원과 1·2급 간부 직원이고 성금을 내면 사측이 연말정산에서 기부금 처리를 해 준다는 것으로 알려졌다.

건보공단은 이같은 사실을 모두 부인했다. 직급에 따른 권장 금액이 정해져 있지도 않았고 강제적으로 진행한 것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건보공단은 모금액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기탁해 저소득과 취약계층 체납 보험료를 지원하는 데 사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건보공단 재정관리실 팀장은 지난해 4월부터 9월까지 17개 요양기관의 진료비 지급보류액 46억2000만원을 횡령한 후 필리핀으로 도피했다.

업계 관계자는 "강제로 진행한 모금 운동이 아니라 하더라도 직원들은 회사의 눈치를 봤을 것"이라며 "사측의 통제 실패로 벌어진 횡령 사건을 임직원에게 전가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