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28일 국정자원 화재 관련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 연합뉴스 

"국정 최고 책임자로서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

이재명 대통령은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모두발언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추석을 앞두고 우편·택배·금융 이용이 많아지는 시기인 만큼 관계부처는 국민의 불편과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생활에 밀접한 시스템의 신속한 복구와 가동에 총력을 기울여달라"며 "특히 취약 계층 지원, 여권 발급 등 중요 민생 시스템은 밤을 새워서라도 최대한 신속하게 복구하길 바란다"고 지시했다.

또 "정부의 대처와 복구 현황을 신속·투명하게 공개하고 복구에 시간이 더 필요한 부분은 대처 방안을 만들어 국민에게 적극 안내하고, 민간과 협력도 촘촘히 구축하라"며 "전산 시스템의 문제로 납세·계약 등 행정 의무를 이행하지 못한 국민이 혹여 부당하게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적 대응책의 필요성도 지적했다.

그는 "놀라운 건 2023년에도 대규모 전산망 장애로 큰 피해가 발생했는데 본 화재도 양상이 매우 유사하다는 지적이 많다"며 "2년이 지나도록 핵심 국가 전산망 보호를 게을리해 막심한 장애를 초래한 것 아닌지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같이 중요한 기간망은 외부적 요인으로 훼손될 때 즉각 대응할 수 있는 2중 운영 체계를 당연히 유지해야 하는데 그 시스템 자체가 없었다는 게 놀랍다"며 "3시간 안에 복구할 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는데 3시간은커녕 이틀이 다 되도록 복구가 안 되지 않느냐"고 질타했다.

또 "당연히 2중 운영 체계가 필요한데 왜 지금까지 준비하지 않았는지 이 문제도 정확히 확인해보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