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이 국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의원실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이 KT와 LGU+가 고객 정보 유출 해킹 사건을 고의로 은폐하려 했다는 의혹을 8일 새롭게 제기했다.

통신사들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경고를 받고도 침해 사실을 부인했으며, 데이터 유출을 인지하고도 공식적인 보고나 침해 신고를 하지 않았다는 주장이다.

미국 보안 전문지 프랙(Prac)이 KT와 LGU+의 사이버 공격과 데이터 유출 정황을 제기하기 2주 전인 지난 7월 19일, KISA는 관련 제보를 받고 두 통신사에 "침해 정황이 확인됐으니 사고 발생 여부를 확인하라"는 공문을 보냈다.

반면에 KT는 7월 21일 자체 조사 결과 침해 정황이 없다고 회신했고, LGU+는 8월 11일 KISA의 추가 자료 제출 요청 공문에 대해 8월 13일 "침해 사실이 없다"고 답했다.

문제는 통신사들이 '프랙' 보도가 나온 지난달 8일과 10일경 데이터 유출 사실을 인지했음에도 KISA에 공식 보고나 침해 신고를 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황정아 의원은 "통신사들이 KISA의 경고에도 2주간 데이터가 유출된 사실조차 몰랐다는 것은 보안참사"라며 "KISA가 보낸 침해 사고 정황이 확인됐으니 신고하라는 공문마저 묵살한 것은 다분히 고의적으로 법을 무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