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에서 발생한 무단소액결제 사태가 불법 초소형 기지국을 통해 발생했다는 정황이 포착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T가 이용자 무단 소액결제의 원인 가운데 하나로 불법 초소형 기지국의 통신망 접속을 언급했다고 10일 밝혔다.
이에 과기부는 불법 기지국이 다른 장소에서도 접속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KT에 불법 기지국이 통신망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즉각적인 대책을 요구했다.
무단 소액결제 범행에 사용된 초소형 기지국은 소규모 셀이나 펨토셀이라고 불리는 기기로 추정되고 있다.
펨토셀은 반경 10m 통신을 제공하는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용 초소형, 저전력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데이터 통신량 분산이나 음영지역 해소 목적으로 사용되며 '펨토 AP'로도 불린다.
KT는 2013년 세계 최초로 광대역 LTE 홈 펨토셀을 개발했다며 상용화에 나선 적이 있다.
과기부는 "해커가 불법 초소형 기지국을 활용하여 정보를 탈취했는지와 어떤 방식으로 무단 소액결제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해 정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무단 소액결제 범행에 초소형 기지국이 악용된 내용을 다른 통신사에도 공유해 필요한 조처를 하도록 할 예정"이라며 "불법 기지국 외 다른 사이버 침해 사고 원인에 대해서도 깊이 있게 조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은서 기자
geunseo067@safetim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