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폴리에스터 아마이드 생산을 위한 신규 대사회로. ⓒ KAIST 
▲ 폴리에스터 아마이드 생산을 위한 신규 대사회로. ⓒ KAIST 

KAIST는 플라스틱을 대체할 미생물을 이용한 신규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을 개발했다.

KAIST 연구팀은 시스템 대사공학을 이용해 미생물 균주를 개발하고 다양한 신규 유형의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인 폴리에스터 아마이드를 생산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미생물 대사회로를 설계해 9종의 폴리에스터 아마이드를 생산할 수 있는 플랫폼 미생물 균주를 개발했다.

폐목재·잡초 등 포도당을 원료로 사용해 폴리에스터 아마이드를 친환경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했다. 또 해당 균주의 유가 배양식 발효 공정을 활용해 고효율 생산이 가능함을 확인하며 산업화 가능성도 입증했다.

연구진은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의 물성을 분석한 결과, 기존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과 유사한 성질을 갖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친환경적이면서도 기존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을 만큼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다.

개발된 균주와 전략들은 여러 가지 폴리에스터 아마이드뿐만 아니라 다른 그룹의 여러가지 고분자들을 생산하는 대사회로들을 구축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엽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는 "석유화학 산업에 의존하지 않고, 재생 가능한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 생산 가능성을 세계 최초로 제시했다"며 "생산량과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