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인플루엔자 의사환자가 2016년 이래 최고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어 65세 이상 어르신, 어린이 등은 백신접종을 서둘러 줄 것을 당부했다.
3일 질병관리청 의원급 인플루엔자 표본감시 결과에 따르면 최근 4주간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발생은 지속 증가해 52주차 외래환자가 1000명 당 73.9명으로 51주차(31.3명) 대비 13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호흡기바이러스 병원체 감시 결과, 52주차 기준 50.9%로 지난 주 29.0% 대비 21.9%가 증가함으로써 이번 절기 가장 높게 검출됐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유형은 A형 중(H1N1)pdm09(34.6%)가 가장 높았고, H3N2(14.9%), B형(1.4%)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유행 중인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이번 절기 백신주와 매우 유사해 백신 접종 후 높은 중화능 형성이 확인되므로 백신접종을 통해 충분한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치료제 내성에 영향을 주는 변이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질병청은 어린이와 65세 이상 어르신의 경우, 지난해 동기간 대비 낮은 접종률을 보이고 있어 교육부,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와 협업해 적극적으로 예방접종을 독려할 계획이다.
소아, 임신부 등 고위험군은 의심 증상으로 오셀타미비르 경구제(타미플루), 자나미비르 외용제(리렌자로타디스크) 등 항바이러스제(2종)를 처방 받을 경우 건강보험 요양급여가 적용된다.
지영미 청장은 "어린이와 임신부, 65세 이상 어르신들은 이미 늦었다 생각하지 마시고 지금이라도 꼭 인플루엔자 백신접종을 맞아달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질병청 '감염병 빅데이터' 민간 개방한다
- 질병청 '실험실생물안전지침' 개정 … 안전 강화
- 독감 유행주의보 발령 … "예방접종 서두르세요"
- 한-일-중 '발생가능 감염병' 감시체계 공유
- 희귀질환 국가 관리 확대 '의료비 부담' 줄인다
- 노로바이러스 환자 급증 … 60%가 영유아
- 'HMPV' 국내 증가세 … "특이 동향 없어"
- 예방 실천으로 'HMPV' 감염 낮추세요
- '위기임산부' 지원하니 … 92명은 원가정으로
- 독감 2016년 이후 '최대 유행'
- 질병청-ADB '보건 분야' 기술적 파트너쉽 구축
- C형간염 양성자 '확진검사비' 준다
- '우수 감염병병원체 확인기관' 4곳 지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