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제6차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 식약처
▲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제6차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 식약처

어린이의 비만율이 패스트푸드·탄산음료 등의 섭취 증가로 증가하고 있다. 또 방과 후 학원을 중심으로 생활하며 다양한 시설에서 제공하는 급식을 섭취하는 등 어린이의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런 변화하는 환경 요인을 고려해 수립한 제6차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종합계획을 5일 발표했다.

학교 주변뿐만 아니라 학원 근처까지 '어린이식품안전보호구역'을 확대한다. 또 초등학생 등이 자주 이용하는 무인판매점과 마라탕 등 조리·판매업소의 안전관리도 강화한다.

어린이들의 많이 시청하는 유튜브나 SNS의 광고에 고열량·저영양 식품임을 안내하는 사업을 시범 도입한다. 또 어린이에게 고열량·저영양 식품의 노출을 자제하는 자율 책임 강화를 위한 협약을 식품업계와 추진한다.

치킨 등 어린이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먹는 식품을 내년부터 어린이 기호식품으로 지정하고 2026년부터는 나트륨·지방 등 영양성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를 단계적으로 의무화한다.

영유아부터 청소년까지 발달 단계에 따라 가상·증강현실(VR·AR) 등을 활용한 체험형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해 스스로 건강한 식생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해 급식 식재료 보관부터 배식까지 모든 공정의 온도, 세척제 농도 등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2027년까지 구축해 소규모 어린이 급식소에 보급할 계획이다. 또 영양성분 데이터 기반으로 맞춤형 영양성분 서비스도 확대한다.

식약처 관계자는 "미래의 주역인 어린이가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학부모와 업계가 협조해 달라"며 "식생활안전관리의 성과를 일상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도록 수립된 계획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