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안정적인 시공과 고품질 콘크리트를 확보할 수 있는 AI 기반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시스템을 개발했다. ⓒ 한국기술건설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AI 기반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건설공사에 일정 준수와 비용 절감, 경제적 손실 방지 등을 이유로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저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저강도 콘크리트는 구조적 안전성 문제와 내구성 저하 등 품질관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건설연의 남북한인프라특별위원회 연구팀은 안정적인 시공을 지원하고 고품질 콘크리트를 확보할 수 있는 예측시스템을 개발했다.

시스템은 물·시멘트·골재 등 재료와 재령을 입력변수로 활용한다. 7300개 이상의 데이터를 머신러닝 알고리즘에 적용해 최적의 강도와 배합구성·양생관리가 가능하다.

기준강도 10~120MPa를 지원하며 순환골재·고강도 콘크리트·초고성능 콘크리트 등의 예측도 가능하다.

김병석 원장은 "콘크리트 품질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 기술을 기업 등과 협업을 통해 사용을 확대할 예정"이라며 "유관기관·기업 등에 기술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