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AI 기반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건설공사에 일정 준수와 비용 절감, 경제적 손실 방지 등을 이유로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저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저강도 콘크리트는 구조적 안전성 문제와 내구성 저하 등 품질관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건설연의 남북한인프라특별위원회 연구팀은 안정적인 시공을 지원하고 고품질 콘크리트를 확보할 수 있는 예측시스템을 개발했다.
시스템은 물·시멘트·골재 등 재료와 재령을 입력변수로 활용한다. 7300개 이상의 데이터를 머신러닝 알고리즘에 적용해 최적의 강도와 배합구성·양생관리가 가능하다.
기준강도 10~120MPa를 지원하며 순환골재·고강도 콘크리트·초고성능 콘크리트 등의 예측도 가능하다.
김병석 원장은 "콘크리트 품질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 기술을 기업 등과 협업을 통해 사용을 확대할 예정"이라며 "유관기관·기업 등에 기술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은서 기자
geunseo067@safetimes.co.kr
관련기사
- 건설연, 맞춤형 '지하수 관리' 시스템 개발
- 건설연 "안개 속 후미등 밝기 조절 기술 개발"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드론·AI'로 노후 건물 안전점검 성공
- 서울시 '부실시공 책임 강화' … 즉시 재시공 의무화
- 서울시 '부실공사 ZERO' 계획 발표 … 안전 직결 시공은 하도급 '금지'
- 대구복합혁신센터 '부실시공' 다원종합건설 영업정지 1년 '철퇴'
- "내년 여름부터 AI가 비 예보한다"
- KISTI 이식·건기연 박선규 원장 선임
- HL디앤아이한라 '건설기술연구' 우수사례 선정
- 박선규 신임 건설원장 "글로벌 건설기술 선도"
- 건설연, 저온에서 안전 '지반다짐기술' 개발
- 건설연 '모바일 제어' 스마트 분전반 개발
- 건설연 노후 터널 점검 위한 'AI 드론' 개발
- 골재 품질검사 불합격시 판매중지에 처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