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연구팀은 체성분 변화와 치매 위험의 상관관계를 밝혀내고, 체중 관리만으로는 치매 예방 효과를 충분히 기대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서울대병원 김성민 융합의학과 연구교수와 박상민 가정의학과 교수가 1일 1300만명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근육량의 증가는 치매 위험을 줄이는 반면 지방량의 증가는 치매 위험을 높인다고 밝혔다.
비만이 치매 발생의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비만과 치매 간의 관계는 비만을 측정하는 다양한 지표에 따라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보인다.
연구팀은 성별과 연령에 따른 체성분 변화가 치매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다 정교한 위험 예측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2009~2010년의 1차 검진과 2011~2012년 2차 검진을 받은 치매 병력이 없는 성인 1321만5208명을 대상으로 대규모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기존에 검증된 예측 방정식을 사용해 제지방량(pLBMI), 사지근육량(pASMI), 체지방량(pBFMI)을 추정했다. 각 지표는 각각 체중에서 지방을 제외한 체성분, 팔과 다리의 근육량, 신체의 지방량을 나타낸다.
이후 두 차례의 건강검진 데이터를 비교해 각 지표의 변화를 측정하고, 콜스(Cox) 비례 위험 회귀 분석을 통해 근육량과 지방량 변화가 치매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8년 동안 추적 관찰했다.
연구 결과, 근육량이 증가할수록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치매 발생 위험이 크게 감소했다. 남성은 제지방량이 1㎏/㎡증가할 때 치매 위험이 15% 감소했고, 여성은 31% 감소했다. 사지근육량이 1㎏/㎡ 증가할 때 남성은 30%, 여성은 41%까지 치매 위험이 감소했다.
반면 지방량의 증가는 치매 위험을 크게 높이는 결과를 보였다. 체지방량이 1㎏/㎡ 증가할 때 남성은 치매 위험이 19%, 여성은 53%까지 증가했다. 이러한 경향은 나이, 성별, 기존 체중, 체중 변화와 관계없이 모든 그룹에서 일관되게 나타났다.
또 60세 미만의 연령층에서 근육량과 지방량 변화가 60세 이상보다 치매 위험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젊은 시기부터 근육량을 늘리고 지방량을 줄이는 것이 노년기 치매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팀은 대규모 전국 단위 역학 연구를 통해 체성분 변화가 치매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처음으로 검증했고, 복잡한 측정 장비 없이 신뢰성 있는 방법을 사용해 결과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신경과학회 '임상·중개신경학회지' 최신호에 게재됐다.
박상민 교수는 "단순히 체중 변화만 고려하기보다 체성분 관리가 치매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성민 연구교수는 "젊은 때부터 근육량을 늘리고 지방량을 줄이는 관리가 노년기 치매 위험을 낮추는 데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