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10년 동안 우리은행의 금융사고 금액이 시중은행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우리은행
▲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 범위가 계열사까지 확대되며 금융감독원이 수사 범위 확대를 계획하고 있다. ⓒ 우리은행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의 친인척이 연루된 대규모 부당대출 의혹이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2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손 전 회장 친인척 관련 부당 의심 대출이 추가 확인됨에 따라 수사 범위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금감원은 앞서 우리은행에서 발생한 부당대출 규모를 350억원으로 발표했다. 그러나 최근 우리금융저축은행(7억원)과 우리캐피탈(10억원)에서 추가로 의심 대출이 발견, 계열사에 대한 현장검사 필요성이 대두됐다.

특히 손 전 회장의 친인척이 대출을 돌려막기 방식으로 처리한 사실이 내부 감사에서 밝혀지면서 관리 감독 시스템 부실이 도마 위에 올랐다.

이들은 법인명을 변경해 가며 대출을 받아 연체된 다른 법인의 대출 상환에 이를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금감원은 이들 대출 과정이 정상적이지 않았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우리은행 추가 검사와 함께 계열사 현장검사에 나설 계획이다.

핵심 쟁점은 우리은행 현 경영진이 부당대출 사실을 인지하고도 이를 보고하지 않았는지 여부다.

금감원은 손 전 회장 친인척이 대출을 받은 시점이 우리금융 측의 부당대출 인지 이후라는 점에서 현 경영진의 개입 가능성을 조사하고 있다.

한 금융업계 전문가는 "경영진의 개입이 있었어도 문제고 없었어도 문제"라며 "내부통제 상실과 그룹 차원의 비리 가운데 차악을 선택해야 하는 꼴"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